매일신문

[사설] 풀뿌리 민주주의 지방의회 뿌리부터 썩었다

지방의회들이 금권선거, 의원직 갈라먹기, 정당 개입 등으로 뿌리부터 썩고 있다. 그동안 금품이 오간다는 설만 무성했던 지방의회 의장단 선거에서 실제로 금품 살포 내용과 전달 방법, 그리고 장소까지 구체적으로 담은 문건이 수면 위로 터져 나왔다.

지난 5일 열린 제6대 후반기 예천군의회 의장단 선거와 제5대 후반기 예천군 의장단 선거에서 금품으로 동료 의원의 표를 매수한 정황을 담은 문건이 나온 것이다. 이번 폭로는 예천군의회 의장단 선거에서 1표 차로 낙선한 장대복 의원이 직접 작성했다. 문건에 따르면 정영광 예천군의회 의장도 연루되어 있다. 정 의장은 장 의원에게 돈을 받아 예천군의회 이 모 의원에게 전달했다고 시인했다. 또 2008년 후반기 의장단 선거에서도 장 의원을 통해 받은 3천만 원을 전달했고, 이 중 한 의원으로부터는 1천만 원을 돌려받았다고 인정했다. 철저하게 조사해서 지방의회의 타락에 브레이크를 걸어야 한다.

경북도의회도 제9대 후반기 의장단을 구성하면서 부의장 선거와 관련, 금품과 화장품 수수 의혹이 일어 선관위에서 조사를 받고 있다. 얼버무리지 말고 철저하게 조사해야 한다. 경주시의회, 군위군의회, 대구 달서구의회에서는 의원직 갈라먹기를 둘러싼 잡음도 간과할 수 없다.

이런 퇴행적인 의원직 갈라먹기는 먼저 당에서 부추기는 기류마저 없지 않다. 6년 전, 모 지역구 국회의원이 경북도의회 여성 비례대표 후보자 4명을 앉혀놓고 임기의 절반만 하겠느냐고 제안했던 사례는 지방의정사의 씻을 수 없는 오점이다. 풀뿌리 지방의회가 제대로 살아나려면 지역구 국회의원들의 투명 공천과 지방의원들의 피나는 자정 노력 그리고 불거진 잡음에 대한 철저한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