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경북 출연기관 비리, 엄한 책임 필요하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출자'출연한 기관의 모양새가 요즘 말이 아니다. 올 들어 잇따라 다양한 비리와 부정이 적발돼 위상이 떨어지고 있다. 대구시, 경북도, 정부가 공동 출연한 대구테크노파크(TP)와 경북테크노파크(TP)에선 간부까지 범죄를 저질렀다. 지역을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이미지 추락을 자초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19일 대구TP 모바일융합센터장을 징계 및 면직 처분했다. 국책사업비 1억 2천만 원 상당을 횡령한 혐의다. 직원 연구 수당과 성과급으로 부풀려 지급하고 되돌려받는 수법을 쓴 것으로 드러났다. 또 법인카드로 백화점 상품권을 샀고 모피 제품 구입과 골프 비용 등 개인 용도로도 썼다.

대구경찰청도 경북TP의 지역산업평가단장과 전 팀장을 입건했다. 용역 사업을 하면서 연구비를 허위로 지출하는 수법으로 5천200만 원을 챙겼고, 또 1년 넘게 사업과 무관한 해외여행에 2천만 원을 사용한 혐의다. 정부 사업 참여 업체로부터 400여만 원의 여성 화장품 등도 받았다고 한다.

두 사례에서 보듯 이들은 공적 사업비를 개인 치부를 위해, 기관보다 개인 호주머니를 먼저 채우는 데 썼다. 예산을 제멋대로 사용한 셈이다. 조직을 이끌 간부조차 비리를 저질렀다. 혹 인사 시스템에 잘못은 없는지 되돌아볼 일이다. 두 기관의 도덕적 해이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출연한 대구시와 경북도는 그간 뭘 했는데 이 지경인가?

대구TP와 경북TP는 침체된 지역 산업 발전과 육성, 신성장 동력 발굴과 먹거리 창출, 인재 양성 등을 위해 1998년, 1999년에 설립됐다. 빠듯한 재정 형편 속에 대구시, 경북도, 지식경제부, 대학, 일부 경북 시'군 등의 출연을 모아 자본금 955억 원과 617억 원으로 출발했다. 비대해지는 수도권에 비해 쪼그라드는 지역을 살리려는 몸부림의 하나로 세워진 셈이다. 올해 두 기관은 각각 500억 원대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해마다 수백억 원의 사업비로 다양한 일을 추진토록 하는 이유는 지역을 위함이다.

그런데 이들 간부 비리는 두 기관의 근본 설립 취지를 훼손하는, 용납할 수 없는 범죄다. 물론 일부에 국한된 것이리라 믿는다. 많은 구성원은 어려운 지역에 보탬이 되려 밤낮없을 것이다. 지역과 많은 선량한 소속원을 위해서라도 두 기관에 대한 엄한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철저한 조사로 재발 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 대구TP'경북TP가 자세를 재정립, 지역 발전의 견인차로 거듭나기를 촉구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