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들의 취업률 조작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전국 32개 대학의 취업률 통계 실태를 감사한 결과 28개 대학들이 다양한 편법을 동원해 취업률을 조작한 것.
대학들의 대표적인 조작 수법은 학생들이 회사에 취업한 것처럼 꾸민 뒤 건강보험료와 인턴보조금을 학교가 대납하는 방식.
A대는 13개 업체에 63명을 허위 취업시키고 교비에서 배정된 실험실습비로 이들의 건강보험료를 대납했다가 적발됐다.
B대는 미취업자 52명을 14개 업체에 2개월가량 단기 취업시키는 조건으로 인턴보조금(5천630만원)을 업체에 지급했다. 재원은 국고에서 지급된 교육역량강화 사업비였으며 이렇게 지급된 액수는 두 달 동안 1인당 평균 100만원에 달했다.
대학이 취업률을 손쉽게 높이기 위해 교내 인턴을 과다 채용하거나 평생교육원 등록자를 대학원 등에 진학한 학생인 것처럼 눈속임한 사례도 있었다.
취업률 통계는 대학 평판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교과부가 교육역량 강화사업 지원 등 각종 재정지원 사업을 할 때도 핵심적인 평가지표로 활용된다.
이 때문에 대학들이 허위 취업, 교내 채용, 진학자 과다 계상 등 갖은 편법을 동원해서라도 취업률을 높이려고 안간힘을 쓴다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었다.
교과부는 "관리 감독을 철저히 해 국고가 낭비되는 사례가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최병고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