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신질환자 많은 아파트 가족지킴이 센터 설립 필요"

수성구의회 김재현 의원 주장

대구 수성구 A아파트에 정신장애인의 범죄를 미리 방지하고 치료와 상담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가칭 '가족지킴이센터' 설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수성구의회 김재현 의원(범물동'파동'사진)은 최근 구정 질문을 통해 경증 정신질환자를 조기에 상담, 치료해 극단적인 선택을 막고, 정신장애인들의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치료, 관리를 위해선 센터 설립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수성구 내 정신질환자는 지난해 12월 현재 766명(18세 이하 청소년 제외)인데 이 아파트 입주민 중 정신장애인이 181명에 달해 수성구 전체의 정신질환자 25%가 이 아파트에 살고 있다는 것.

김 의원은 "정신장애로 인한 크고 작은 사건'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게 A아파트의 실정"이라며 "이는 학교 폭력, 청소년 자살 문제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현재의 사회복지사 인력으로는 상담 및 치료 대상자를 모두 관리하기 어렵고 공간 및 예산, 전문 인력 부족으로 지속적인 상담에도 어려움이 많다고 설명했다. 정신장애인의 경우 직접 병원을 찾아가기가 쉽지 않고 본인과 가족의 적극적인 치료 의지가 없는 한 치료를 진행하기도 어렵다는 것.

이에 김 의원은 정신장애인의 일상과 가까운 곳에서 원스톱시스템으로 상담과 복지서비스 치료를 함께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만큼 이 아파트 내에 가족지킴이센터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정신장애인들의 적절한 여가 활용과 알코올 중독을 막기 위해 센터 내에 정신장애인 쉼터와 알코올 상담실도 만들 필요가 있다는 것.

김 의원은 "정신장애인의 재범률은 32.1%로 일반 범죄자의 재범률(24.3%)보다 높다"며 "평소 가까운 곳에서 정신질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긴급 사태 발생 시 주민과 가족을 보호할 수 있는 가족지킴이센터 설립과 상담 및 치료 전문 상담요원 배치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또 "정신장애인은 신체장애인 등 다른 사회적 약자와 달리 자기주장도 못해 사회의 무관심 속에 방치돼 있다. 이분들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2년 동안 고민하고 연구한 끝에 센터 설립 방안을 제시하게 됐다"며 "주민들에겐 정말 죄송하지만 그냥 말로만 해선 설득력이 없을 것 같아 반발 등 위험을 감수하고라도 구체적인 수치 등을 밝히기로 결심했다. 앞으로 얼마나 시간이 걸리고 힘들지 모르지만 이 아파트 정신장애인들을 위해 센터를 꼭 설립하겠다"고 밝혔다.

이호준기자 hoper@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