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치매노인 조기 진단 관리, 수혜 폭도 점차 늘리자

정부가 29일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노인 치매 문제 대책으로 '제2차 국가 치매 관리 종합계획'을 내놓았다. 급속한 고령화사회로 접어들면서 치매는 대표적인 노인 질환이 된데다 치매 환자도 가파르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치매의 조기 발견과 치료가 발등의 불처럼 급하다는 판단에서다.

올해 65세 이상 치매 노인은 53만 4천 명이다. 65세 이상 전체 노인 589만여 명의 9%를 웃돈다. 정부가 지난 2008년 첫 실시한 치매 유병율 전국 조사에선 42만 1천 명이었다. 4년 만에 26.8% 증가했다. 같은 기간 65세 이상 전체 노인은 501만 6천 명에서 17.4% 늘었다. 치매 노인 증가율 폭이 더 크다. 치매 노인은 2025년 103만 명, 2050년 238만 명이 될 전망이다.

요즘 거리엔 치매 노인을 찾는 가족의 안타까운 사연을 담은 게시물이 넘친다. 신문 광고, 전단지 배포, 플래카드 등으로 잃어버린 치매 노인에 대한 연락을 바라는 애타는 심정을 호소하고 있다. 현재 하루 평균 20명 넘는 치매 노인이 실종된다고 한다. 그래서 치매 노인이 있는 가정은 늘 불안하고 가족 고통은 말할 수 없이 크다. 치매 노인 실종 예방을 위한 물건이 잘 팔리고 경찰의 지문'사진 사전 등록 신청제 등에 관심이 쏠리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그러나 임시방편에 그칠 뿐이다.

치매 환자는 조기 발견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치매 초기 단계 치료는 5년 뒤 요양 시설 입소 비율을 55%나 줄이고 연간 5천억 원 넘는 요양 비용 절감 효과도 있다. 치매 노인 문제를 가정과 개인에만 맡겨두기보다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관리, 대책이 필요한 까닭이다. 75세 기준인 치매 환자 조기 발견을 위한 관리 대상의 확대와 치매 환자 노인장기요양보험 혜택 기준의 추가 완화 등도 있어야 한다. 치매 노인과 가족의 고통을 덜어주는 것은 국가 책무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