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조(1869~1927)는 인조 임금 후손이었다. 망한 나라 국민이 되어 글로 조선 백성을 일깨우려 했다. 진사 시험에도 합격했으나 되레 신학문에 관심이 더 많았다. 그래서 고향 포천에 학교도 세웠다. 1906년 11월부터 '소년한반도'란 잡지에 소설 연재로 본격 문학 활동에 나섰다. 특히 1910년대 애국계몽기에 많은 작품을 통해 썩은 봉건 부패관료 비판과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 신교육 등 민중계몽과 개화의식에 힘썼다.
"소설은 인정에 맞도록 편집하여 풍속을 교정하고 사회를 경성하는 것이 제일 목적이다"라는 소설관을 가졌다. 신소설로 망국의 백성 생각을 바꾸려 했다. 그의 대표 신소설로 봉건제도 비판, 정치 개혁의식을 그린 '자유종'(自由鐘)은 1910년 오늘 그렇게 발간됐다. 출판사는 민족의식 고취와 2세 교육을 위한 교과서 등을 펴낼 목적으로 설립된 '광학서포'(廣學書鋪)였다. 이 소설엔 4명의 여성이 등장, 토론으로 낡아빠진 미신'계급의 타파, 평등사상, 민주사상, 여성인권, 자녀 신교육, 자주 독립사상 등 당시 사회 개화에 필요한 전반적인 새로운 제도와 정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가 '이인직에 의해 개척된 신소설의 기초를 확립한 작가'라는 평가를 받는 이유다. 그는 이인직과 함께 우리 신소설 분야의 대표적인 공로자였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