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9월 모의평가는 수능 문제 유형과 수험생의 현재 실력을 점검할 수 있는 계기이자 대입 지원 전략을 수립하는 데도 유용한 지표다.
9월 모의평가 가채점 결과와 6월 모의평가 성적을 토대로 정시모집에서 지원 가능한 대학의 수준을 정확히 파악한 후 어느 대학에 지원할 것인가를 결정해 수시모집에 응해야 한다.
9월 모의평가 최종 성적이 나오는 것은 25일. 그 결과로 수능시험 성적을 예측해보고, 수시에 이미 원서 접수를 한 대학보다 정시에서 높은 수준의 대학에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면, 대학별 고사를 응시하지 않도록 한다. 반면 수시에 이미 원서 접수를 한 대학과 유사한 수준이나 낮은 수준에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면, 적극적으로 대학별 고사 또는 서류 준비 등 수시전형에 임해야 한다.
수시와 정시 중 어느 것에 지원하는 것이 적합한지, 유형에 따라 향후 학습 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필요한 사항을 점검해보자.
우선 정시보다는 수시에 지원하는 것이 적합한 경우다. 이 유형은 대학별 고사 일정에 쫓겨 수능 준비에 소홀한 경우가 많다. 특히 수능 최저학력 기준이 적용되는 모집 단위에 지원했다면 그 기준을 충족시키는 데 초점을 맞춰 영역별 학습의 우선순위를 정하되 정시까지 아우를 수 있는 학습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지정된 최저학력 기준 간의 공통 요소를 찾아내 일정 등급 이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학습해야 한다.
일부 모집 단위에서는 수시 추가 합격의 영향으로 학생부나 대학별 고사의 수준이 낮지만 최저학력 기준을 충족한 것만으로도 합격의 영광을 안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학습 계획을 수립할 때 이미 알고 있던 부분이라도 실수가 반복되는 부분이 있는지 점검하는 것을 잊어선 안 된다.
수시보다는 정시에 지원하는 것이 적합한 유형이라면 수시적합형 학생에 비해 대학별 고사 일정에 쫓기지는 않을 것이다. 이 경우 목표 대학 모집 단위의 정시모집 수능 반영 영역과 영역별 반영 비율을 바탕으로 학습의 우선순위를 정하되 수시모집 지원까지 염두에 둔 학습 계획을 수립하는 게 바람직하다.
정시에서는 백분위 총점이 같더라도 모집 단위별 수능 반영 영역, 반영 비율, 가산점, 탐구 과목 수 등에 따라 대학별 환산 점수에서 유불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영역별 학습의 우선순위를 정하되 학습 시간을 균형 있게 안배하는 데 신경을 써야 한다.
차상로 송원학원 진학지도실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