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보지 못한 새로운 형식의 신라시대 대형 철제 농기구 추정 유물(사진)이 경주 쪽샘지구 적석목곽분(돌무지덧널무덤)에서 발굴됐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류춘규)는 유적 보존정비 차원에서 발굴을 진행 중인 쪽샘지구 41호분 중에서도 껴묻거리를 묻는 공간인 부곽(副槨)에서 이 유물을 찾았다고 4일 밝혔다.
이 대형 철제품은 두께 5㎝, 길이 22.8㎝, 너비 18.5㎝, 무게 약 9㎏에 이르는 네모꼴 몸체에 길이 26㎝의 폭이 넓고 편평한 삽날을 서로 결합한 구조다. 몸체 뒷면에는 주술적인 의미를 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T'나 '日' 같은 부호가 확인됐다. 몸체에는 나무 자루를 끼울 수 있도록 가로, 세로 각각 8.2㎝인 네모난 구멍을 뚫어 놓았으며, 날 부분이 편평한 것으로 봐 농경지나 대지를 고르는 정지용(整地用) 농기구로 추정된다고 연구소는 밝혔다.
연구소는 또 농기구 규격이 일상적인 농기구보다 두 배 이상 크고, 왕족과 같은 지배층 무덤에 묻힌 점으로 봐 가축을 이용한 정지 작업과 깊은 관련이 있거나, 몸체에 기하학 문양이 새긴 점으로 볼 때는 농경 의례 등에 과시용으로 활용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덧붙였다.
이 철제 유물은 삼국사기 지증왕3년(502년) 조에 '지방에 명하여 농사를 권장케 하였고 처음으로 소를 부려 논밭을 갈았다'라는 기록과 직접 연관되는 고고자료로도 볼 수 있어 앞으로 5세기 후반~6세기 초 무렵의 신라사와 농업사 관련 분야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고 연구소는 평가했다.
올 5월 발굴 결과 이 무덤에서는 새 날개 모양인 금동제 관식(관 장식)과 은제 관식, 정수리 장식, 뒤꽂이 장식을 모두 갖춘 신라시대 관모가 출토되기도 했다.
연구소는 "이 유물이 지금까지 확인된 삼국시대 철제 농기구 중 규모가 가장 크다"면서 "특히 철제의 몸체에 편평한 날 부분을 결합시킨 특이한 탈'부착식 구조는 국내 고대 농기구 중에서 처음 확인된 사례이며 일본과 중국에서도 이런 유물이 발견된 사례가 없다"고 했다. 경주'이채수기자 csl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