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파르게 오르던 채소류 가격이 주춤해졌다.
몇 달 사이 지난해보다 5, 6배 가격이 뛰었던 상추'시금치 등 채소 도매가격이 하락세로 바뀌면서 소비자 가격도 내려갈 전망이다.
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이달 6일 적상추(상품) 도매는 4㎏에 평균 6만7천원에 거래돼 일주일 전(7만4천원)보다 9.5% 떨어졌다. 한 달 전보다는 211.3%, 1년 전보다 230.4% 오른 가격이라 아직은 소비자들의 부담이 크다.
소매가격은 100g에 평균 2천257원으로 1주일 전보다 9.6% 비쌌지만 전날(2천279원)보다는 1.0% 내려가며 상승폭이 수그러들었다.
청상추도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6일 청상추(상품) 도매 가격은 4㎏당 5만5천800원으로 일주일 전에 비해 10.8% 가격이 하락했다. 소매가격은 100g당 2천139원으로 전날 2천174원보다 소폭 떨어졌다.
시금치는 하락세가 더 뚜렷했다. 같은 날 시금치(상품) 평균 도매가격은 4㎏에 3만6천원으로 1주일 전(4만5천400원)보다 1만원(20.7%) 가까이 하락했다. ㎏당 평균 소매가격도 이달 3일 1만4천원까지 오른 이후 내림세로 반전돼 사흘간 11.3% 하락해 1만2천406원을 기록했다.
고랭지 배추도 평균 도매가격이 한 달 전 ㎏당 762원 하던 것이 이달 5일 1천140원까지 올랐으나 6일에는 1천120원으로 1.8% 하락했다.
깻잎의 소매가는 여전히 오름세지만 도매가격은 내려가 조만간 소매 가격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도매는 상품 2㎏에 이달 4일 3만원(3만400원)을 웃돌다가 5일부터 하락해 6일에는 2만8천200원에 거래됐다. 한 달 전보다는 47.5% 오른 가격이다.
이달 6일 깻잎의 평균 소매가격은 200g이 4천원에 육박해 1주일 전보다 10.6%, 한 달 전보다 50.6% 올랐다. 그러나 도매 가격 하락세가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 강세가 곧 꺾일 것으로 전망된다.
유통업계는 조만간 채소류의 작황이 회복되면서 가격이 안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통상 태풍이 지나가고 20여 일 후에는 가격이 하락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가격이 하락하는 시기에 맞게 홍보를 통해 구매시기가 분산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달 중순까지 김장배추의 적기정식(아주심기)을 유도하고 10월 이후엔 작황을 점검해 필요 시 김장 대책을 조기에 세우기로 했다. 정식'수확 인력 부족 완화 차원에서는 고용허가제 쿼터 확대를 추진한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