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원리금을 갚느라 허덕이는 '하우스 푸어' 대책으로 우리금융그룹이 '트러스트 앤드 리스백'(trust & lease back'신탁 후 임대)을 도입기로 했다. 이 제도는 집주인이 소유권을 유지하면서 관리'처분권만 은행에 맡기고 3~5년의 신탁 기간 중 고액의 원리금을 상환하는 대신 16~18%의 연체 이자율보다 훨씬 낮은 5% 정도의 월세를 내고 자기 집에서 계속 거주하는 방식이다.
이는 집주인과 은행이 '윈-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집주인으로서는 연체금을 갚지 못해 경매에 넘어갈 위험을 최장 5년간 피할 수 있고 신탁 기간 중 대출금을 다 갚으면 집 소유권을 온전히 되찾을 수 있다. 은행으로서는 대출금이 연체된 주택의 경매 폭주로 집값이 폭락해 손실을 빚게 되는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이는 하우스 푸어 문제를 공적자금 투입으로 해결한다는 새누리당의 '매각 후 임대' 방식과 달리 주택 투자에 실패한 사람과 대출을 잘못한 은행의 당사자 간 결자해지라는 점에서 도덕적 해이라는 문제도 없다.
'매각 후 임대' 방식은 자기 책임 아래의 투자라는 자본주의 원칙의 부정이라는 점에서 포퓰리즘일 뿐만 아니라 최악의 경우 무주택자가 낸 세금으로 주택 소유자와 은행을 돕게 되는 사태가 발생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물론 우리금융그룹의 접근 방식에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일부러 연체를 한 뒤 원리금 상환을 유예받는 경우도 생길 수 있고 임대료를 정상적으로 낼 수 없는 가구는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어 수혜자가 소폭에 그칠 수도 있다. 하지만 어떤 제도도 완벽한 것은 없다. 하우스 푸어 문제를 완벽히 해결하려면 집값이 올라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우리금융그룹의 방식은 그런 시각에서 봐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