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대선 후보 지역순회 경선은 현재 추세가 이어질 경우, 문재인 후보가 16일 서울지역 경선에서 대선후보로 확정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문 후보가 대선후보로 확정된 후 구성할 선대위 면면과 야권 단일화 구상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문 후보는 지금껏 11연승을 기록하면서 누적 득표율 50.8%로 과반을 넘고 있는 데다 남은 경기도와 서울 지역 경선도 낙관하고 있어 결선투표를 치르지 않고 후보로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
문 후보 진영은 대외적으로는 남은 경선에 집중한다고 하면서도 경선 과정에서 불거진 당내 갈등을 수습할 모양새의 선대위 구성과 안철수 서울대 교수와 벌일 야권 후보 단일화 전략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안 교수와의 단일화에 대비한 문 후보 측의 프로그램은 대략 세 가지로 압축되고 있다.
문 후보가 더 많은 국민들로부터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야권 지지층의 주목을 받을 수 있는 명망가를 최대한 영입, 선대위를 꾸리는 것이 그 첫 번째다. 이와 관련, 윤관석 문 후보 캠프 공동대변인은 "'친노'로 대표되는 핵심지지 세력의 선대위 참여 여부에 대한 불필요한 오해가 생기지 않을 정도로 외연을 넓히는 일에 역량을 집중할 생각"이라며 "대선 후보로 확정된다면 그에 걸맞게 당내외 인사가 골고루 선대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두 번째는 문 후보가 그동안 공들여 온 생활정치 영역에 대한 관심을 정책과 대선공약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프로젝트가 그것이다. 대선주자로서 또 미래의 지도자로서의 면모를 각인시킬 수 있는 기획을 준비 중이다.
안 교수를 겨냥한 행보도 빼놓을 수 없다. 문 후보 측은 후보 단일화와 관련, 여론조사 방식보다는 안 교수와의 담판을 통해 결론을 짓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추석을 지난 후 안 교수와의 회동을 추진하고 있다. 문 후보나 민주당이 안 후보에 대한 네거티브를 자제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한편 지역경선에서 문 후보가 과반 득표에 실패할 경우, 23일 1'2위 후보가 결선투표를 하게 된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