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안철수는 누구?…체육시간에도 독서, 대학땐 무의촌 진료봉사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통해 '정치권의 신데렐라'로 떠오르기 전까지 안철수 서울대 교수의 인지도는 그리 높지않았다. 중장년층에게는 컴퓨터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별난 의사' '벤처 CEO'의 이미지가 강했다. 2030세대에게는 이즈음 시작된 '청춘 콘서트'와 저서, TV 연예프로그램 등을 통해 '성공적 삶을 살아온 멘토'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안 교수는 1962년 2월 26일 부산에서 태어났다. 2남 1녀의 장남이다. 어린 시절은 비교적 유복했다. 서울대 의대를 나와 부산 범천동에서 병원을 개업한 부친 안영모 씨 덕분이다. 초'중학교 시절에는 두각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부산고 시절에는 최상위권 성적을 유지했다.

과학자의 꿈을 키웠던 그는 1980년 서울대 의대로 진학했다. 내성적인 성격이라 대학원에서는 환자들과 마주해야 하는 임상과목 대신 전기생리학을 전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 시절에는 학생시위 대신 무의촌 진료봉사 활동을 통해 사회 현실에 대해 고민했다고 한다. 안 교수는 저서 '행복 바이러스'에서 "학교에 다니기 시작한 후부터 점점 아이들과 어울리는 것을 싫어하게 됐다. 체육 시간에도 운동은 하지 않고 혼자서 나무 그늘에 앉아 책을 읽었다"고 회고했다.

안 교수의 첫 번째 인생 전환점은 컴퓨터 바이러스가 계기였다. 의대 박사과정 중이던 1988년 잡지를 통해 컴퓨터 바이러스의 존재를 안 뒤 치료 백신 개발에 매달려 'V1'이란 첫 안티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1989년부터 1991년까지 단국대 의대 교수로 재직한 그는 1994년 해군 군의관 복무 후 본격적인 컴퓨터 바이러스 전문가의 길로 들어섰다. 1995년 설립한 '안철수컴퓨터바이러스연구소'는 1999년 4월 발생한 'CIH 바이러스'를 계기로 승승장구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와튼 스쿨에서 경영학석사(MBA) 학위를 취득한 뒤 2008년 귀국한 그는 카이스트 석좌교수로 임용됐다가 2011년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후 정부의 각종 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사회 각계로 보폭을 넓히기 시작했다. 그러다 2009년 6월 인기 예능프로그램인 '무릎팍 도사'에 출연한 후 대중적 인기를 얻으며 젊은 층의 멘토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2011년에는 6월부터 3개월여 간 의사인 박경철 씨, 법륜 스님이 이끄는 평화재단과 함께 전국 25개 도시를 순회하는 '청춘 콘서트'를 진행하며 큰 사회적 반향을 이끌어냈다.

안 교수의 두 번째 인생 전환점은 지난해 8월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무상급식 주민투표 부결로 사퇴한 뒤 찾아왔다. 서울시장 출마를 고민한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다. 결국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에게 서울시장 후보 자리를 양보했지만 그는 대권주자 반열에 올랐다. 특히 지난해 11월 안랩 주식 지분(37.1%)의 절반을 사회에 환원, 재단을 설립키로 하면서 더욱 화제를 모았다. 지난 7월 '안철수의 생각'을 출간한 뒤 국민의 의견을 듣겠다며 소통 행보를 시작한 그는 '안철수 현상'이 일기 시작한 지 1년여 만에 대선 출마라는 결단을 내렸다.

한편 부인 김미경(49) 씨는 안 교수의 서울대 의대 1년 후배로 학창시절 만났다. 카이스트 교수로 있다가 안 교수가 서울대로 자리를 옮길 때 함께 모교 교수가 됐다. 무남독녀인 딸 설희(24) 씨는 미국으로 유학 가 펜실베이니아 대학원에서 수학 중이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