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빚 때문에 집이고 땅이고 다 넘어가게 됐습니다. 금융권 대출이자를 돌려막기 위해 사채까지 빌려쓸 정도입니다."
구미디지털산업지구 조성 사업이 수 년째 제자리 걸음(본지 12일자 9면, 13일자 2면 보도)을 하고 있는 가운데, 재산권 행사를 하지 못한 토지 소유자들이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곧 토지 보상이 된다"는 말을 믿고 금융회사로부터 이주 대비 대토구입자금이나 자녀 학자금 등을 빌린 일부 주민들은 대출금 상환 기일을 앞두고 발만 동동 굴리는 형편이다.
구미시 등에 따르면 현재 구미디지털산업지구 조성 사업 내 토지 소유주는 1천430여 명이다. 이들은 2006년 말 이 일대가 토지거래허가구역 및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토지 거래는 물론 건축물 개'보수도 하지 못하고 있다.
산동면 주민 A(49) 씨는 "수자원공사의 일방적인 사업 지연으로 인해 대출이자와 연체비용 등 과도한 금융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재산 압류'경매 처분 등 극단적인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면서 "주민들이 더욱 고통스러운 것은 수자원공사 측의 토지수용계획과 사업추진에 대한 의지가 없어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다른 주민 B(52) 씨도 "자녀들이 대학에 진학하면서 어쩔 수 없이 최근 땅을 팔았는데 공시지가(3.3㎡ 30여만원)보다 훨씬 싼 20만원대에 매매를 했다"면서 "자고 일어나면 늘어나는 빚이 자식들에게 넘어갈까봐 죽을 수도 없다"고 하소연했다.
격분한 주민들은 집단 행동에 나서기도 했다. 주민들은 내년 말까지 일괄 토지 보상과 실시계획승인 신청 이행 등을 요구하며 이달 말까지 항의 시위를 벌일 계획이다. 앞서 13일 구미시의회 의원들이 현장을 방문했을 때는 한국수자원공사 직원들과 격한 몸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전병구 한국수자원공사 사업처장은 "구미국가산업단지 4단지 배후단지 조성공사와 5단지 조성공사의 진행 상태, 경기 여건 등을 고려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지금 상태로서는 구미디지털산업지구 조성 사업 추진에 대해 확답을 해줄 수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정부는 2008년 5월 구미시 금전동과 산동면 봉산'임천리 일원 470만㎡를 구미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고 구미디지털산업지구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2020년까지 1조398억원을 투입해 첨단 IT산업과 모바일 특구, R&D센터, 국제화 교육시설 및 업무지구, 외국 병원, 외국인 정주시설 등을 조성할 계획이지만 4년이 지나도록 사업 진척이 없는 상태다.
구미'전병용기자 yong12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