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분권協, 위원들 회의 수당 안받기로

시 예산 2,400만원 절감 효과…추가인사 영입에도 큰 도움

이달 4일 발족한 대구시 지방분권협의회(의장 김형기 경북대 교수'이하 협의회)가 지방분권개헌을 위한 아름다운 행보를 보이고 있다.

대구시조례에 의해 탄생한 협의회는 대구시 자문기구이기 때문에 위원들은 회의 참석에 따라 참석수당을 지급받도록 돼 있다. 올해 이를 위해 책정된 예산이 2천400만원. 현재 위원은 각계를 대표한 23명으로 구성돼 있는데, 1회 수당을 10만원씩만 계산해도 회의 한 번 할 때마다 230만원이 지출되게 돼 있다. 회의자료 인쇄비(400만원)를 제외하면 전체 예산이 4천800만원에 불과한데 회의비로 절반이 나가면 대외 행사 참석, 세미나, 대시민 홍보활동 등 지방분권 본연의 임무는 전혀 할 수 없게 돼 있는 구조다.

예산이 빈약해 사무국조차 둘 수 없는 협의회는 20일 대구무역회관에서 2차 회의를 열고 회의 수당을 전액 행사비로 전환키로 결의했다. 이달 4일 출범식 때 회비를 반납하자는 탁성길 위원(한국자유총연맹 대구시지부 회장)의 제안이 있었고, 소위원회를 거친 끝에 이날 두 번째 회의에서 만장일치 결의가 된 것.

이날 회의에선 위원 숫자도 30명으로 7명을 늘리기로 했다. 분권운동에 뜻을 같이하는 인사들의 많은 참여가 아쉬웠지만 예산상의 이유 때문에 제한을 했는데 수당 문제가 해결되면서 위원 영입에 장애가 없어졌다. 영입 대상은 기초의회, 여성, 대학생, 상공 경제계, 시민단체를 대표한 인사들이다.

김형기 의장은 "회의를 자주 열어야 하지만 예산 문제 때문에 망설여졌는데 위원들의 분권 개헌에 대한 열망이 자원봉사로 이어져 문제가 해결됐다. 열정을 가진 인사들을 추가로 영입해 지방분권 개헌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