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K2 소음 영향도 조사 못믿겠다"…용역기관 교체 요구

측정 범위 일부지역 한정돼…협소한 설명회 장소도 비난

20일 오후 대구 동구 해안동주민센터에서 열린 K2 항공기 소음 영향도 조사 용역 설명회에서 소음 피해 지역 주민들이 용역기관인 서울대 환경소음진동연구센터 관계자들을 상대로 소음 측정 기준 등을 따져 묻고 있다. 우태욱기자 woo@msnet.co.kr
20일 오후 대구 동구 해안동주민센터에서 열린 K2 항공기 소음 영향도 조사 용역 설명회에서 소음 피해 지역 주민들이 용역기관인 서울대 환경소음진동연구센터 관계자들을 상대로 소음 측정 기준 등을 따져 묻고 있다. 우태욱기자 woo@msnet.co.kr

국방부 주관으로 열린 '항공기 소음 영향도 조사 용역 설명회'가 용역기관 성토장으로 바뀌며 파행을 겪었다. 20일 오후 2시부터 대구 동구 해안동주민센터에서 1시간 남짓 진행된 대구 K2 비행장 소음 영향도 조사 용역 설명회는 주민들의 용역기관 교체 요구에 밀려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소음 영향도 조사는 K2 주변 주민들의 소음 피해 지원 관련 법 제정 전 대략적 예산을 짜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국방부는 설명회에 앞서 대구를 제외한 전국 11개 지역 비행장 소음 측정 지점 선정까지 완료됐다고 밝혔다.

설명회에 나선 서울대 환경소음진동연구센터 측이 소음 지도 제작을 위해 14곳의 측정 지점을 선정한다고 하자 주민들의 불만은 최고조에 달했다. 대구 동구 전 지역을 비롯해 북구, 수성구, 경북 경산까지 비행기 소음 피해를 입고 있는데 동구와 북구 일부에만 소음 측정 지점을 둔다는 것은 수박 겉핥기식 측정이라는 것이다. 특히 예산 확보를 위해 사전 조사를 하는 과정임에도 측정 범위를 넉넉하게 잡지 않은 점을 집중적으로 따졌다.

주민들은 "1주일 정도의 짧은 기간 안에 소음 측정을 해서 소음 지도를 만든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국방부가 소음 피해 보상금을 주고자 소음 지도를 만들었을 때도 서울대 환경소음진동연구센터가 했는데 조잡하기 그지없었다"고 입을 모았다.

그러나 서울대 환경소음진동연구센터는 12개 지역을 일괄 용역 받은 터여서 주민들의 용역기관 교체 요구가 관철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이와 관련해 주민들은 "주민들이 선정한 용역기관 1곳을 더 선정해 두 개의 소음 측정 결과를 종합해 판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설명회 장소와 관련해 주민 민원 수용에 적극적이어야 할 대구 동구청은 협소한 장소 제공으로 빈축을 샀다. 100명 가까운 주민들이 참석한 이날 설명회는 80㎡ 남짓한 해안동주민센터 회의실에서 열렸다. 주민들은 "이렇게 중요한 내용을 설명하는데 고작 주민센터 회의실에서 주민 설명회를 열게 한다는 건 뭐하자는 작태인지 이해하기 어렵다"며 대구 동구청을 비난했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