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주목 이책!] 밀크의 지구사

해나 벨튼 지움/강경이 옮김/휴머니스트 펴냄

밀크는 예부터 음식과 음료일 뿐 아니라 신비롭고 귀중한 존재였다. 순수한 이미지로 인해 신의 음료로 여겨졌으며, 병든 이를 고치는 약으로 숭배되는 등 예부터 많은 문화권에서 '하얀 묘약'으로 칭송받았다. 소를 숭상하는 인도의 힌두교에서는 물소 젖을 종교 정화의식에 썼으며, 신들에게 헌주(獻酒)로 바쳤다. 밀크는 치료제의 역할도 했다.

인류는 기원 전 7000년부터 '가축의 젖'을 먹기 시작했다. 자연의 완전식품이자 포유동물 생명의 바탕을 이루는 밀크는 아프리카와 서아시아에서 식량과 물이 귀한 시기에 인류의 생존에 도움을 줬다.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3국에서는 밀크를 우유(牛乳)로 번역하지만, 인류가 목축을 시작하면서 마시기 시작한 동물의 젖에는 소젖만 있는 것이 아니다. 밀크는 양젖, 염소젖, 말젖 등 인류가 가축화해 키운 포유동물의 젖 모두를 일컫는다. '밀크=우유'가 된 것은 대량 사육에 적합해 산업화가 용이했던 특성 때문이다.

하지만 밀크는 빠르게 부패하고 먼 거리를 유통해야 하는 바람에 값이 비쌌다. 그러면서 양조장 지게미를 먹여 키운 쓰레기 우유, 물이나 밀가루, 녹말, 분필 등을 섞은 가짜우유, 표백 우유와 같은 불량 우유가 넘쳐났다.

저자는 젖먹이를 둔 어머니들을 산업혁명의 현장으로 내몰기 위해 모유 대신 불량 우유를 먹게 한 '우유와 어머니의 관계사', 건강 유지의 필수 음료가 된 우유의 이미지를 통해 만들어진 '영양의 식민화' 등을 '묘약'에서 '하얀 독약'이 된 밀크의 역사와 이면을 통해 우리가 지금껏 알던 것과는 사뭇 다른 밀크의 모습을 소개한다. 그리고 저자는 '멸균, 저지방 등의 가공 우유가 과연 묘약인 것일까'라는 질문을 우리에게 던진다. 244쪽. 1만5천원.

한윤조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