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직후 민심을 반영한 각종 여론조사 결과가 '박근혜의 위기'를 이야기하고 있다.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이대로 가다간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며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많아졌다. 박 후보가 2, 3일 외부일정을 잡지 않고 '칩거 장고(長考)'한 것도 이 같은 상황을 의식한 때문으로 보인다.
4일 유승민 새누리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친박계 2선 후퇴론'에 대해 "텃밭인 대구에서조차 소위 친박계나 박 후보 주변이 부패해 있고 낡은 이미지의 사람들로 채워져 있다는 반발이 있다"며 "반전을 위한 모든 카드를 백지상태에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박 후보 스스로도 할 수 있는 것은 다 해야 한다는 생각을 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친박계가 전면에서 물러나는 것은 물론 '더 강력한 조치'도 필요하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중앙선대위 남경필 부위원장도 3일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친박 배제'를 주장했다. 그는 "(박 후보 주변을) 진공 상태로 만들 필요가 있다"며 "권력은 비워져야 새로운 것이 채워지는 것처럼 자리를 꽉 차지하고서는 새로운 권력, 새로운 사람 등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후보를 바꿀 수는 없으니 후보 주변만큼은 모두 바꿔야 한다는 위기감의 표현이다.
이 같은 기류는 중앙선대위 실무진급이 모두 구박(舊朴) 중심으로 채워지고, 박 후보와 소통하기 위해선 일부 친박 최측근과의 1차 관문부터 통과해야 한다는 지적이 수면 위로 부상하면서 강해지고 있다. 시인 김지하 씨, 서울대 송호근 교수, 유도선수 김재범 씨 등 '깜짝 외부 수혈'이 헛물을 켠 것도 실무진의 보좌 실패와 무리한 영입 전략이 빚은 헛발질인 만큼 이를 계기로 중앙선대위의 전면 쇄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하지만 당내에는 '쇄신론'에 공감하면서도 이를 피력하지 않는 인사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 후보의 용인술이 믿는 사람을 오래 쓰는 스타일이다 보니 어차피 바뀌지 않을 것이란 무력감에서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