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특별재난지역 선포 검토" 정부 때늦은 조사단 파견

수습본부장에 환경부 장관

행정안전부 이삼걸 제2차관 등 정부관계자들이 4일 구미 불산 누출사고 주민들과 사고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구미시 제공
행정안전부 이삼걸 제2차관 등 정부관계자들이 4일 구미 불산 누출사고 주민들과 사고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구미시 제공

지난달 27일 구미국가산업단지 4단지 내 화학제품 제조공장 ㈜휴브글로벌의 불산 누출사고로 2차, 3차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검토하는 등 뒤늦게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정부는 정부중앙청사에서 임종룡 국무총리실장 주재로 구미 불산 누출사고 관련 관계 차관회의를 연 뒤 범정부 차원의 재난조사단을 5일 현장에 급파했다.

정부는 유영숙 환경부 장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꾸렸고, 한국환경과학원은 비상상황실을 운영해 화학물질 사고 대응정보시스템 가동에 나서는 한편 특수화학분석차량을 현장에 보내 오염지역 탐지활동과 시료 채취 분석에 나섰다. 또 불산의 특성과 제독 물질, 풍향 등을 고려해 사고 현장의 반경 1㎞를 위험지역으로, 반경 1.5~4㎞ 지역을 준 위험지역으로 설정했다.

정부는 이기환 소방방재청장이 5일 사고현장을 찾는 등 소방방재청의 현장 피해에 대한 전수조사를 한 뒤 구미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이날 구미의 사고현장을 찾기로 했으나, 정부 조사단이 현장조사를 벌이는 상황에서 총리실에서 대응 방안과 지휘를 총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에 따라 현장 방문을 취소했다.

4일 사고 현장을 방문한 행정안전부 이삼걸 제2차관은 "정부 차원의 조기 수습을 위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것과 신속한 피해지역 복구를 위해 행안부 특별교부세 지원, 정부 차원의 공인된 검증기관이 참여하는 역학조사 조기 실시 등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새누리당 서용규 국회의원(부산 남구을)은 5일 국정감사 때 환경부를 대상으로 구미 불산 누출사고의 심각성과 정부 차원의 대응 등을 질의하는 등 국회 차원의 관심도 집중되고 있다.

정부의 이 같은 방침에도 불구하고 늑장 대응으로 피해가 확산됐다는 비판이 강하게 일고 있다.

2차 인명 피해가 계속 늘어나 4일까지 병원 치료를 받은 사람만 900여 명에 달한다. 특히 증상이 심한 3명은 입원 중이며, 피부에 발진이 나거나 피를 토하는 등 심각한 후유증을 앓는 사람도 나오고 있다.

구미'이창희기자 lch888@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