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위기론 속에서 제기된 새누리당 대선 캠프 '새판 짜기'가 최경환 대선후보 비서실장 사퇴로 일단락될지 주목된다.
이달 3, 4일 새누리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남경필 유승민 부위원장이 잇따라 "후보 빼고 다 바꿔야 한다"고 '친박계+지도부 퇴진론'을 주장한 지 사흘 만에 최 실장이 물러났다. 최 의원은 "사퇴는 나 하나로 끝났으면"이라고 했지만 쉽지는 않아 보인다.
일단 새누리당 대선정책의 양대 축인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 위원장과 안대희 정치쇄신특위 위원장이 사흘째 당무 복귀 의사를 밝히지 않고 '태업 중'이다. 김 위원장은 이한구 원내대표가, 안 위원장은 최근 국민통합위원장으로 선임된 한광옥 전 새천년민주당 대표가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최근 '사퇴 불사'를 공사석에서 이야기하면서 박근혜 후보에게 "나와 이 원내대표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이야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 위원장은 한 전 대표 영입 이야기가 들릴 때 "비리인사 영입은 절대 안 된다"는 뜻을 박 후보에게 전달한 뒤 연락이 끊긴 상태다. 본인이 쇄신특위를 맡고 있는 마당에 비리 전력이 있는 인사를 영입해 엇박자가 나고 있다는 항변이다.
여기에다 새누리당 안팎에서는 최 의원뿐만 아니라 서병수 당 사무총장 겸 중앙선대위 선대본부장, 이정현 공보단장, 이한구 원내대표 등의 '2선 후퇴'를 주장하고 있다. 박 후보가 "친이 친박을 나눠서 당과 국민께 혼란을 줘서는 안 된다. 각자 자리에서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가 생각해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지만 지지율 상승곡선을 위해선 '큰 소리 나게' 판을 새로 짜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무기력한 선대위 운영을 지적받고 있는 서 본부장은 사퇴 불가 입장을 보이고 있고, 의원들이 뽑은 선출직인 이 원내대표의 사퇴도 쉽지 않은 상태다.
하지만 지난주 "박 후보 주변을 진공상태로 만들어놔야 한다"며 인적 쇄신을 주장한 남경필 부위원장은 "절박한 문제 제기를 불화나 갈등으로 봐서는 안 되고 담대한 변화가 필요하다"며 최 실장 사퇴가 '시작이어야 한다'는 뜻을 밝히고 있다.
팔짱을 낀 채 대선국면을 관망하는 의원 다수를 움직이기 위해선 박 후보 스스로 '큰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벌써부터 "20대 총선은 박근혜가 공천 주는 것이 아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