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훈민정음 창제의 속뜻'밝혀낸 재야한글연구자 정창수 씨

"한글은 눈으로 보는 글자 아닌 귀로 듣는 말"

"흔히들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짜와로 서로 사맛디 아니할쐬…'로 시작하는 어제의 언해본 첫머리를 '나라의 말이 중국(中國)과 다르기 때문에 서로 통하지 않는다'고 이해하지만 이는 세종대왕 본래 속마음과는 거리가 멉니다."

세계 문자 중 유일하게 만든 사람과 반포 시기(1446년 9월), 창제 원리까지 알 수 있는 우리글에 매료돼 반평생을 한글 연구에 매진해 온 재야학자 정창수(57) 씨. 그는 모든 언어가 사람의 입에서 나는 소리로 구성돼 있지만 우리말만은 각각의 소리에 독특한 음가(音價)를 부여해 '소리-글자'와의 상관관계를 염두에 두고 만든 글자라고 주장한다.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의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의 속마음은 그가 직접 쓴 훈민정음 해례본 첫머리 '어제'(御製) 54자 속에 분명히 밝혀져 있습니다. 그것은 훈민정음 창제 동기가 문자체계가 아니라 바른 소리를 통해 민중의 소통수단을 바로잡기 위함인 거죠."

정 씨에 따르면 해례본 어제 첫머리 '國之語音異乎/中國與文字不相流通'의 해석은 '나라의 말이 달라 나라 안이 서로 문자로 소통이 안 된다'는 세종대왕의 소회이다. 또 굳이 '나랏말'이란 뜻의 '국지어'(國之語)로 해도 되는데 '국지어음'(國之語音)으로 한 글자를 더 보탠 것은 세종이 당시 지식계층의 전유물인 한자를 읽는 소리와 민중들이 쓰는 우리말이 달라 소통이 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안타까워했음을 표현한 것이다.

"한 나라 안에서도 소통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인 말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 상황을 바로잡으려고 했음을 미뤄 짐작할 수 있는 것입니다."

게다가 정 씨는 해례본 어제 54자의 마지막에 어조사 의(矣)가 아닌 귀 이(耳)로 끝을 맺어 한글 창제의 목적이 '눈으로 보는 글자'가 아닌 '귀로 듣는 말'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글 창제 당시 정인지가 이미 해례본 서문을 작성했음에도 세종이 이에 만족하지 않고 별도의 어제를 해례본 앞에 써 놓은 이유가 여기에 있는 셈이다.

"훈민정음 창제를 위해 세종은 산스크리트어에 능통한 신미대사의 도움을 받았고 신숙주를 수차례 만주에 파견해 언어를 연구하게 했습니다. 그 결과 지금도 인도 타밀어나 불교경전에 적힌 많은 단어들이 우리말을 만든 '정음'의 법칙이 적용된 경우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영남대 정외과를 졸업하고 필리핀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받은 정 씨는 우연히 해례본 어제 54자 속에 비밀코드화 된 세종의 한글 창제 이야기에 이끌렸다. 그는 고향 의성에서 1인 출판사 '바른 소리' 대표를 맡아 한글의 과학적 창제 원리의 단초를 제공한 한민족 옛 글자인 가림토 문자 연구와 숫자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지난해 '하나님 가라사대'와 '말과 글자와 DNA'라는 책을 펴냈고 휴대용 단말기에 한글과 영어, 숫자를 한꺼번에 입력할 수 있는 새로운 자판구조를 도안해 올해 6월 특허를 받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