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연말 준공하는 포항시 재활용품선별센터 운영을 두고 일부 포항시의원들이 예산 부담이 큰 민간위탁을 고집하며 제동을 걸어 논란이 일고 있다.
포항시는 재활용품선별센터 운영을 시 산하 시설관리공단에 맡겨 예산을 절감하겠다는 입장인 반면 일부 시의원들은 '전문성'을 이유로 민간에 위탁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그동안 포항지역 재활용품 선별사업은 한 업체가 2000년부터 수의계약을 통해 12년간 독점 운영하며 매년 원가산정에 따라 4억~8억원씩의 보조금을 시로부터 지원받아 특혜 시비를 불러일으켰다.
이 때문에 시는 삼우그린과의 계약을 올 연말로 끝내고 새로운 재활용품선별센터를 만들고 있으며, 지난 7월 (재)한국경제정책연구원에 원가산정 용역을 의뢰한 결과 시설관리공단에 맡기는 것이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와 공단에서 직영하는 계획을 세웠다. 용역결과 민간에 위탁할 경우 연간 1억5천만원가량의 보조금을 지급해야 하지만, 시설관리공단이 맡으면 오히려 5천700만원가량의 수익이 발생해 연간 2억여원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신설 재활용선별센터는 포항시 남구 호동 5천695㎡에 77억원을 들여 하루 평균 60t의 혼합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으며, 오는 11월 1일 시험운영에 들어간다.
시는 시의회의 동의를 얻어 시설관리공단에 직영키로 할 계획이었으나, 최근 포항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일부 시의원들이 시설관리공단의 전문성 결여를 문제로 삼아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이다.
일부 시의원들은 "시설관리공단이 재활용 사업에 대한 전문성이 없으며 구체적인 수익 창출을 위한 분석 자료를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시는 시의회의 이 같은 반발에 따라 11일 간담회를 열어 재활용품선별센터 운영주체 선정문제를 결론 짓기로 했다.
지역 관련업계는 신설 재활용품선별센터를 시설관리공단이 아닌 민간위탁으로 결정될 경우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공개 경쟁입찰이 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포항시 관계자는 "신설 재활용품선별센터는 최신 설비를 갖춰 다른 전문성이 굳이 필요치 않다"면서 "집행부가 예산을 절감하도록 감시하는 기관이 시의회인데, 예산이 더 많이 소요되는 민간위탁을 주장하고 있다는 점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포항'이상원기자 seagul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