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주변 권력지형이 바뀌고 있다.
인적 쇄신 공방 이후 친박계의 후퇴와 함께 비(非) 친박계가 활동폭을 넓히고 있고, 신(新) 친박계가 주류로 떠오르는 모습이다.
우리나라 최장수 장관으로 불리는 진념 전 경제부총리가 중앙선대위 공동선대위원장으로 발탁되면서 '경제' 이미지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진 전 부총리는 최근 '전직 부총리'장관 초청 만찬 간담회'에서 "경제민주화라는 것이 만병통치약인 것처럼 이름 짓는 위험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경고했는데 야권의 이슈인 경제민주화를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 영입으로 선점한 만큼 지금부터는 이 경제민주화에 새누리당의 색깔을 입힐 것으로 보인다.
김성주 성주그룹 회장의 영입은 '여성과 성공' 이미지 강화 차원으로 읽힌다. "여자들도 감정을 절제하는 방법과 극기를 배우기 위해 군대를 가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는 김 회장은 파격적인 발상과 실험으로 사업 확장에 성공했다. 정치권에서는 김 회장이 안정을 도모하고 변화를 회피하는 것으로 비쳐지는 보수 진영에 쓴 소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구박(舊朴)의 쇠퇴는 현실화됐다. 최경환 후보 비서실장이 사퇴하더니, '경제민주화'로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과 맞섰던 이한구 원내대표도 박 후보가 김 위원장 손을 들어주면서 힘이 빠진 상태다.
서병수 중앙선대위 선대본부장(당 사무총장)은 탈박(脫朴)했던 김무성 전 원내대표의 귀환으로 선대본부장직을 내놓고 당무와 당-선대위의 가교 역할에만 전념할 것으로 보인다. 원조 친박이 뒷걸음질 치고 있는 것이다.
그 자리를 새로운 친박계가 메우고 있는 모양새다.
특히 헌법 조항에 '경제민주화'를 넣어 전도사가 된 김종인 위원장이 대표적이다. 새누리당 행태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지금껏 4차례 업무 거부 의사를 밝혔는데 그 때마다 박 후보가 직접 김 위원장을 달랬다. 정치쇄신특위를 맡고 있는 안대희 위원장도 급부상한 친박 인사로 꼽히고 있다. 그 역시도 '정직' '강직' '쇄신' 등 개혁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박 후보의 신뢰를 얻고 있다. 한광옥 전 새천년민주당 대표는 '호남 대표'라는 이미지로 영남, 호남의 지역주의 타파와 화합에 매진하게 된다. 새누리당과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으로 보였던 새 인물들이 박 후보 선대위의 가장 깊숙한 곳으로 성큼 들어선 셈이다.
정몽준 의원이 공동선대위원장에 선임되면서 비박 진영의 전진 배치도 예고돼 있다. 정 의원 핵심 측근인 안효대 의원의 역할도 주목된다.
특히 '쇄신파'인 김성태, 김세연 의원의 역할론이 부각되고 있고 원희룡 전 의원의 지원도 필요하다는 말이 나온다. 김세연 의원의 경우 대변인 역할에 적임자란 추천이 여기저기서 제기되고 있다. 부산 출신 야권 후보에 대응해 부산이 지역구인 대변인을 쓰자는 취지다.
'친박계+지도부 2선 후퇴'가 최 비서실장의 사퇴만으로 일단락될 경우 '인적쇄신 요구'는 숙지지 않을 것으로 보여 비박 내지는 쇄신파의 입지는 더 넓어질 수 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