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불산 피해지 경제자유구역 서두르자"

편입예정 봉산·임천리 주민들, "수년간 재산권 제한 피해 이참에 보상

구미 불산 누출사고로 구미지역 전체에 간접 피해가 커지는 가운데 조기 수습을 위해선 구미 경제자유구역 조성사업을 조기 착수해야 한다는 지적이 강하게 대두하고 있다.

불산 2차 피해지역인 구미 산동면 봉산'임천리 대부분 지역이 구미 경제자유구역 조성사업에 편입되기 때문이다. 이 지역 주민들 역시 빠른 피해 보상과 함께 경제자유구역 조성사업의 조기 착수 등 이주 대책을 강력 요구하고 있다.

구미 금전동과 산동면 봉산'임천리 일원 470만㎡는 2008년 5월 구미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됐으며, 2020년까지 1조398억원을 투입, 첨단 IT산업과 모바일 특구 등 구미 디지털산업지구로 조성될 계획이다. 불산 피해지역인 산동면 봉산'임천리는 민가 300여 가구를 비롯해 전답 등 거의 모든 땅이 이 사업에 편입된다. 이처럼 불산 피해지역이 구미 경제자유구역 조성사업과 겹쳐지면서 조성사업을 앞당겨 편입토지를 보상하면 문제가 쉽게 풀릴 수 있다는 관측들이 나오고 있는 것.

그러나 이 사업은 4년이 지나도록 진척이 없다. 사업 시행을 맡은 한국수자원공사가 4대강 사업 참여에 따른 자금난 등을 이유로 편입토지 보상(7천800억원 상당)을 미루면서 현재 착수 시기조차 불투명하다. 특히 이 일대는 2006년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 및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후 방치, 토지 소유자들은 재산권 행사는 물론 건축물 개'보수조차 못해 불만이 거셌다.

이런 상황 속에 이번 불산 사고까지 겹쳐 주민 불만이 극에 달한 것으로 당국은 분석하고 있다.

구미 환경자원화시설과 구미 청소년수련원 등에 나눠 15일 현재 10일째 피난생활 중인 산동면 봉산'임천리 주민들은 정부가 불산 오염도 측정 결과 별 문제가 없다고 밝혔음에도 불안감 속에 집에 돌아가기를 꺼리며 이주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박종욱 임천리 주민대책위원장은 "불산가스 공포로 주민 스트레스와 피해의식이 확산되고, 토양 오염 가능성이 높아 더 이상 농사 짓기가 어렵다고 판단해 마을에서 다시 산다는 것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며 "어차피 마을 전체가 구미 경제자유구역 조성사업에 포함되는 만큼 불산 피해보상과 함께 사업 조기 착수로 편입토지 보상을 하루빨리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명석 봉산리 주민대책위원장은 "불산 피해 보상과 함께 전면 이주대책이 있어야 주민들이 안정을 찾고, 마을로 다시 들어갈 수 있다"고 밝혔다.

구미시 김임태 산동면장은 "봉산'임천리는 일부 임야를 제외한 거의 모든 땅이 경제자유구역에 편입돼 주민들은 불산 피해보상과 함께 편입토지의 빠른 보상 집행을 요구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한편 남유진 구미시장과 심학봉 새누리당 국회의원(구미갑)은 14일 불산 사고 현장을 찾은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에게 "6년 전부터 시작된 구미 경제자유구역 조성사업이 지지부진해 주민들의 재산피해가 막심하고, 특히 이번 불산사고와 겹쳐 주민 불만이 극에 달한 만큼 경제자유구역 편입토지에 대한 보상을 하루빨리 해달라"고 강력 요청했다. 이에 홍 장관은 "정부 차원에서 최선의 방안을 강구해 보겠다"고 밝혔다.

구미'이창희기자 lch888@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