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NLL 대화록·정수장학회, 대선 최대 쟁점 급부상

여야 네거티브 공세 본격화

'색깔론과 과거사'.

대선이 60여 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네거티브 공세가 본격화되고 있다.

새누리당은 노무현 정부의 NLL 포기 발언 의혹을 제기하며 '색깔 공세'를, 민주당은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가 이사장으로 있었던 정수장학회 문제를 꺼내 들며 '과거사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새누리당은 노무현 정부였던 2007년, 남북 정상회담이 있기 한 달 전에 문재인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 주재로 서해 북방한계선(NLL) 대책회의를 열었다고 14일 폭로했다.

이철우 새누리당 원내대변인(김천)은 이날 "2007년 8월 18일 국가정보원 산하 안보전략연구소 조성렬 선임연구위원이 작성한 '2차 정상회담 시 NLL 등 평화정착방안 보고서'를 토대로 당시 문재인 비서실장 주재로 김만복 국정원장, 이재정 통일부 장관, 백종천 안보실장이 참석한 가운데 청와대에서 대책회의가 열렸다"며 "이 회의에서 '우리가 일방적으로 그은 NLL 문제를 공론화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이 내려졌다"고 주장했다. 북방한계선(Northern Limit Line)은 6'25 휴전 직후인 1953년 마크 웨인 클라크 당시 주한 유엔군사령관이 북한과의 합의 없이 설정한 해상경계선을 뜻한다.

이 원내대변인은 이어 "이 회의의 결론으로 NLL 무력화 또는 양보 방안으로 '서해 NLL 주변 해역의 평화 수역화, 공동어로구역'이 나온 것인데 남북 정상회담 때 'NLL을 앞으로 주장하지 않겠다'는 노 전 대통령의 말은 즉흥발언이 아닌 정권 차원에서 준비된 발언"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새누리당은 이 같은 폭로를 뒷받침하기 위해 원세훈 국가정보원장과 서주석 전 청와대 안보수석을 불러 묻기로 했다.

새누리당은 최근 문재인 민주당 대선 후보가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이 사실이 아니면 새누리당 박 후보가 책임지라"고 한 것에 대해 문 후보에게 직접 맞불을 놓은 것이다.

반면 민주당은 박 후보가 이사장으로 있던 정수장학회가 최근 30%를 보유한 MBC 지분과 100% 보유한 부산일보 지분을 매각해 복지사업에 나서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알려지자 "'장물'을 팔아 선거운동 자금으로 쓰려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14일 "정수장학회가 보유한 부산일보 지분과 MBC 주식을 매각해 특정 분야에 사용하겠다는 건 사회적 통념으로나 국민 정서상 용납할 수 없다. 아버지(박정희)가 착취한 재산을 팔아 선거운동에 불법적으로 쓴다면 국민적 분노를 일으키지 않겠냐"라고 비난했다.

민주당은 정수장학회 관련 국정조사와 청문회를 검토하면서 만약의 경우 남은 국정감사 일정을 전면 보이콧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민주당이 그동안 정수장학회의 사회환원을 주장해 왔는데 정수장학회가 정작 지분이나 주식을 매각해 장학사업에 쓰려 하자 이를 막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정수장학회 해법은 새누리당 내부에서부터도 나오고 있다. 안대희 새누리당 정치쇄신특위 위원장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최필립) 이사장, 이사 임기가 다소 남았더라도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객관적'중립적인 사람에게 넘기고 그만두는 게 바람직하다고 쇄신특위 위원들이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수장학회에 잘못된 게 있으면 고쳐보려고 뒤집어 파봤지만 정말로 운영이 잘 되고 큰 문제가 없었다"고 덧붙였다.

새누리당 중앙선대위 이정현 공보단장은 이와 관련, "민주당의 (정수장학회) 공세는 '노 전 대통령의 NLL 양보 발언' 사건을 덮기 위한 선거용 정치 공세"라고 주장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