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어회화 강사 확대, 비정규직만 양산"

대구 경북 내년 100여명 추가…시도교육청·교원단체 등 반발

교육과학기술부가 영어회화 전문강사를 전 학교에 배치하기로 한 방침을 두고 교원단체와 시'도교육청 등 교육계가 반발하고 있다.

교과부는 15일 실용영어를 강조하는 2009 개정 교과서가 내년 중'고교 1학년에 적용됨에 따라 내년 영어회화 전문강사 2천300명을 더 뽑아 전체 정원을 8천400명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국 초'중'고교의 영어회화 전문강사 배치율도 100%(올해 73%)에 이르게 된다.

영어회화 전문강사 제도는 실용영어 강화, 원어민 보조교사 관리 등을 위해 한국 국적자를 대상으로 2009년 9월 도입됐고, 현재 전국 초'중'고교에서 6천104명이 말하기와 쓰기 중심의 영어 수업을 맡고 있다. 대구 영어회화 전문강사는 초교 187명(배치율 89%), 중학교 91명(75%), 고교 38명(42%) 등 모두 316명. 경북에는 초교 246명(배치율 96%), 중학교 70명(26%), 고교 42명(23%) 등 모두 358명의 영어회화 전문강사가 배치돼 있다. 교과부 방침에 따를 경우 대구와 경북에 각 100여 명의 전문강사가 더 배치될 전망이다.

하지만 이를 두고 보수, 진보 양쪽의 교원단체들이 한목소리로 반대하고 있다. 정규직 대신 비정규직 일자리를 양산하고 교원의 전문성을 훼손하는 제도라는 것이다. 현행 영어회화 전문강사 제도가 1년 단위로 임용 계약을 하고 한 학교에 4년 이상 일할 수 없도록 돼 있는데, 이를 1년 단위 계약 규정은 유지하면서 최장 8년까지 근무할 수 있도록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개정할 예정이기 때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18일 논평을 내고 "영어교사 수요는 증가하는데 정부가 정규 영어교사를 충원하려는 노력은 하지 않고 비정규직만 양산하는 정책을 펴는 것은 문제"라며 "정규 교사 충원이 학교 실용영어 교육 강화를 위한 올바른 정책 방향"이라고 주장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도 같은 날 논평에서 "교원의 전문성을 훼손하고 교육대와 사범대 등 국가가 관리하는 교원 양성 기관의 존립 근거를 무너뜨리는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각 시'도교육청 또한 교과부 방침에 부정적인 견해를 밝히고 있다. 대구시'경북도교육청 관계자는 "학교 현장의 의견은 들어보지도 않고 교과부가 일방적으로 발표한 것이라 당황스럽다"며 "각 시'도교육청에서 교과부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채정민기자 cwolf@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