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투자자문사 양극화 현상 뚜렷…상위 10개사 73억 흑자

올 6월 211억 적자 자본잠식 85곳

투자자문사에도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대형사의 과점적 시장 지배 구조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중소형사는 재무 건전성이 악화되고 있어 부실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일부 중소형사는 자본잠식 상태여서 퇴출 위기에 직면해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163개 투자자문사의 순이익은 2011년 3월 877억원에서 올 3월 379억원으로 급감했다. 그리고 올 6월에는 -211억원을 기록,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됐다.

하지만 계약고 상위 10개사의 순이익은 증시 침체에도 불구하고 올 6월 73억원의 흑자를 냈다.

투자자문사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되면서 계약고 상위 10개사의 시장 점유율은 2011년 3월 62%에서 올 3월 이후 63%로 상승했다. 반면 자본이 잠식된 투자자문사는 지난해 3월 51개사에서 올 6월에는 85개사로 급증했다.

인력도 투자자문사별로 편차가 심했다. 2명이 근무하는 투자자문사가 있는 반면 30명이 투자자문을 해주는 회사도 있다. 금융감독원의 투자자문사 인력 현황에 따르면 10명 미만이 112개사로 68.7%를 차지했다. 반면 20명을 초과하는 경우는 7개사 4.3%에 불과했다. 투자자문사의 평균 인력은 9명으로 각종 거래 업무를 수작업으로 처리하는 등 위험관리 통제 시스템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적격 투자자문사가 늘면서 투자 피해가 우려되자 금융감독원은 위험 징후가 보이는 투자자문사를 퇴출하는 등의 관리'감독을 강화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원은 월 단위로 투자자문사의 5개 핵심 지표(자본잠식률'최소유지자본비율'당기순손실률'계약고감소율'소송비율)를 점검하는 한편 내년부터 부실 투자자문사 조기 퇴출을 위한 '3단계 상시관리 기준'을 도입한다. '3단계 상시관리 기준'에 따르면 분기마다 각종 재무지표를 분석해 부실 징후 투자자문사를 선정한 뒤 대표이사에게 개선을 촉구한다. 이어 개선이 미흡한 투자자문사는 집중 현장 점검을 벌여 퇴출 여부를 가리게 된다.

또 금융위원회는 부실 투자자문사에 대한 '직권 등록취소 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직권 등록취소 제도'가 시행되면 등록 후 6개월 이상 계약액이 없거나 자기자본 유지 요건에 미달하고 업무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은 투자자문사의 경우 청문회 절차 없이 등록을 취소할 수 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상위 10개 투자자문사가 전체 수탁액의 3분의 2를 차지할 정도로 업계 양극화가 심하다. 재무건전성이 나빠지는 중소 투자자문사가 중점 관리 대상이다"고 말했다.

이경달기자 saran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