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금주의 정치 이슈] 충청 민심 어디로?

워메, 부담스럽네유~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 후보가 26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애서 열린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의 33주기 추도식에 참석, 분향 헌화를 마치고 합당 발표한 이인제 선진통일당 대표와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 후보가 26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애서 열린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의 33주기 추도식에 참석, 분향 헌화를 마치고 합당 발표한 이인제 선진통일당 대표와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18대 대통령 선거가 다가옴에 따라 충청지역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여야 후보 간 500여 만 표 차이로 마무리 된 지난 17대 대선을 제외한 역대 대선에서 충청지역 표심이 결정권을 행사해 왔기 때문이다. 이에 여야 대선 주자들은 충청지역 민심 확보를 위해 각별한 공을 들이고 있다.

정치권에선 오는 12월 대선이 지난 2002년 대선과 매우 흡사한 구도로 전개되고 있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대세론을 이어 온 보수당 후보에 맞서 영남 출신의 야권 후보가 일전을 준비하고 있어 16대 대선과 비슷한 구도가 형성됐다는 설명이다.

이회창 당시 한나라당 후보 자리를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가 대신하고 있으며, 노무현 후보 자리를 두고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후보가 경합을 벌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치권에선 당시 대선의 승패를 가른 최대 변수는 충청권 민심이었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충청지역으로 수도를 이전하겠다고 약속한 노무현 후보의 공약이 충청 민심을 파고들었고 그것이 박빙의 표차로 마무리 된 대선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번 대선에서도 충청지역 유권자들의 선택이 대선 결과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이에 따라 여야 대선주자들은 충청지역에서의 승리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먼저 새누리당은 25일 충청권을 지역 기반으로 하고 있는 선진통일당을 흡수하며 기선을 제압했다. 더불어 새누리당은 ▷충청권 과학비즈니스벨트 정부 투자 규모 확대 ▷태안 기름유출 사고 피해주민 보상 지원 ▷충남도청 이전에 따른 대전시 공동화 후속대책 등 '충청권 7대 정책' 추진을 약속하며 충청 민심 구하기에 나섰다.

새누리당은 충남 논산 출신으로 과거 충청권 차기주자로까지 거론됐던 이인제 선진당 대표가 충청권 표심을 끌어오는데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합당선언 기자회견 후 기자들에게 '백의종군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나 당내 일각에선 그가 중앙선대위 공동선대위원장직을 맡을 수도 있다며 여지를 남겼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당세가 과거보다 많이 위축된 선진당이지만, 충청권을 기반으로 해 온 만큼 한 표라도 더 모아야 하는 대선전에서는 원군을 얻은 셈"이라고 말했다.

이에 맞서는 야권은 충청 출신 인사들을 풀가동한다는 전략이다.

문 후보와 같은 친노성향인 안희정 충남지사를 최대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더불어 이해찬 민주당 대표의 지역구가 세종시라는 점 등에서 당력을 총동원한 충청권 지원을 예고하고 있다.

또한 행정수도 이전을 주창하고 적극 추진한 정당이 민주당이라는 점을 부각하며 충청민심에 다가서겠다는 복안도 가지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가능한 모든 인재풀과 과거 정책 실적을 통해 충청 민심에 지지를 호소하는 한편 충청지역민들이 매력을 느낄 만한 공약 개발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안철수 무소속 대선 후보는 2008∼2011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석좌교수를 맡았으며 현재 '대전 명예시민'으로 충청권과 인연을 맺고 있다.

안 후보 캠프에선 기존 정당정치, 특히 지역구도 고착에 대한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새누리당과 민주당에 염증을 느낀 지역 유권자들을 흡수하는데 중점을 기울일 예정이다.

충청권에서는 세종시 수정안 부결 후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 후보가 우세를 점해왔고, 지난 4'11 총선에서도 새누리당이 대전'충남'충북의 전체 25개 선거구 가운데 절반인 12곳에서 승리하며 18대 국회에서 3석이던 의석수를 크게 늘렸다. 현재 각종 여론조사에선 세 후보가 혼전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대선정국에 미칠 충청지역 영향력이 예전만 못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지난 2002년에 비해 지역주의 구도가 다소 희석돼 기존 분석 방식으로는 대선 결과를 예측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