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NLL 의혹 새국면…국정원장도 "대화록 있다"

與 "민주 공개 협력해야"

29일 국회 정보위원회의 국가정보원 국정감사에서 원세훈 국정원장이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당시 '노무현-김정일' 정상회담 대화록이 있다"고 밝힐 것으로 알려져 '대화록'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이달 25일 천영우 외교안보수석이 '대화록을 본 적이 있다"고 밝힌 데 이어 원 국정원장이 '정상회담 대화록'의 존재에 종지부를 찍을 것으로 보임에 따라 50일 앞으로 다가온 대선 정국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정치권의 모든 관심이 쏠리고 있다.

새누리당 서상기 국회 정보위원장(대구 북을)은 이날 오전 본지와의 통화에서 "천영우 외교안보수석이 25일 국감에서 '대화록을 봤다'고 밝힌 데 이어 29일 국감에서는 원세훈 국정원장이 대화록 존재를 알릴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정부 당국자가 연이어 대화록 존재를 인정한 마당에 민주통합당 등 야당에서 더 이상 대화록 논쟁에만 치우치지 말고 앞으론 전국민의 관심사인 대화록 내용을 밝히는데 협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서 위원장은 "위원장 직권으로 국정원에 대화록 공개를 정식 요청하는 등의 우회적인 방법을 고심하고 있지만 가장 좋은 것은 여야가 합의를 통해 대화록 공개에 접근하는 것"이라며, "당시 정상회담의 모든 내용을 열어보자는 것이 아니다. 의혹이 된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 부분만 보면 된다"고 말했다.

한편 문재인 민주당 대선 후보는 최근 노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전 의혹을 촉발시킨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과 관련해 "여야 합의로 대화록을 공개하더라도 노 전 대통령의 NLL 관련 발언에 국한해서 봐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후보는 이달 26일 가진 충청권 의원들과의 비공개 만찬에서 "외교문서 전체를 공개하는 것은 외교의 근간을 흔드는 행위"라며 이같이 밝혔다고 복수의 참석 의원이 전했다. 이 발언은 "새누리당의 색깔론 프레임에 민주당이 허우적대면 안 된다"고 우려하는 의원들과 문 후보가 의견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나왔다는 것이다.

새누리당 한 당직자는 29일 "당시 대통령비서실장이었던 문 후보가 대화록 열람의 '조건부 동의'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지면서 향후 민주당이 대화록 열람에 어떤 식으로 대응할지 귀추가 주목된다"고 말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