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인 10명 중 4명 이상이 대학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40년 전에는 성인 10명 중 0.7명만이 대학 출신이었다.
29일 통계청과 교육통계서비스에 따르면 2010년 인구총조사에서 20세 이상 성인 3천676만5천374명 중 대학 출신(전문대학과 대학, 대학원의 중퇴·수료·졸업자 모두 포함)은 1천587만8천204명으로 전체의 43.2%를 차지했다. 고등학교 출신은 1천193만6천271명(32.5%), 중학교 출신은 342만2천905명(9.3%), 초등학교 출신은 393만5천106명(10.7%)이었다.
성인 인구 중 대학 교육 경험자 비중은 40년 전에 비해 7배 가까이 뛰었다. 산업화 초기인 1970년 성인 인구 1천510만5천685명 중 대학 출신은 99만3천16명으로 6.6%에 그쳤다. 대학 출신 비중은 1980년 10.3%에서 1990년18.8%, 2000년 31.4%까지 늘어나면서 2010년에는 40%를 넘어섰다.
대학 진학자가 늘어나면서 대학 수 역시 증가했다. 전국의 대학 수는 1980년 224곳에서 1990년 241곳, 2000년 349곳, 2005년 360곳으로 늘었다. 그러나 과포화 상태가 되며 2010년에는 345곳으로 오히려 줄었다.
통계청 측은 산업화·정보화 과정에서 고급인력이 필요했던 시대적 요구와 뜨거운 교육열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고학력자가 많이 배출되면서 학력 인플레이션이 심화돼 대졸 실업자가 양산되고 사교육비 부담이 증가하는 등 부작용도 발생했다.
대학 이상의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의 취업률은 2000년 68.4%에서 2005년 74.1%로 올랐다가 2010년에는 55.0%까지 급격히 떨어졌다. 고학력 미취업자가 늘고 있는 것.
이에 따라 사교육비 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다. 취업을 위해 조기에 사교육을 진행하게 되어서다. 지난해 사교육비 실태조사에서 전체 사교육비는 20조1천266억원이며 이 중 초등학교 9조461억원, 중학교 6조6억원, 고등학교 5조799억원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참여율은 초등학교 84.6%, 중학교 71.0%, 고등학교 51.6%로 조사돼 사교육을 받는 학생 기준으로 월평균 사교육비는 초등학교 28만4천원, 중학교 36만8천원, 고등학교 42만2천원이었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