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검은돈 농구계, 일벌백계로 다스려야

스포츠가 검은돈에 오염되는 일이 또 발생했다. 국내 아마추어 농구대회에서 수년간 심판 배정, 판정 편의 청탁 등과 함께 억대의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대한농구협회 관계자와 소속 심판, 학교와 실업팀 지도자, 선수 학부모 등 151명이 적발됐다. 축구'배구'야구 등 일부 프로 스포츠의 승부 조작 파문이 가라앉은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아마추어 농구에서도 비리가 드러났다.

농구협회 부회장 진모 씨와 심판위원장 정모 씨는 감독들로부터 심판 판정의 불이익을 당하지 않게 해달라는 '보호비' 명목으로 금품을 받았다. 정 씨는 또 특정 심판을 배정해 달라는 부탁을 받고 돈을 받았다. 최모 씨 등 심판 16명은 유리한 판정의 대가로 돈을 받았으며 일부 심판들은 대회 우승팀에게 '축승금'(우승 축하금)까지 받아 챙겼다. 학부모들은 강요된 상납금을 마련하느라 허리가 휠 지경이었다.

심판 판정을 엄정히 감독해야 할 협회 간부가 오히려 심판 관리와 심판 배정권 등을 활용해 부정을 저질렀다는 점에서 충격적이다. '보호비'라는 것은 돈을 건네지 않으면 편파 판정의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는 이야기로 폭력배의 횡포나 다름없다. 상납 관행이 초'중'고부터 대학과 실업팀까지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는 사실도 심각하다. 청소년 농구 팬들과 자라나는 어린 선수들에게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사법 당국은 스포츠 정신을 더럽히는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남은 수사 과정에서 판정 조작 등을 철저히 밝혀 관련자들을 엄하게 다스려야 한다. 다른 아마추어 종목에도 비슷한 비리가 더 있는지 샅샅이 파헤치는 일도 빼놓을 수 없다. 농구협회는 간부들이 연루된 만큼 자정 노력을 우선으로 펼치고 비리 심판이나 감독이 더는 발을 못 붙이도록 영구 제명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