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단일화로 정권교체 후 국민연대" 安의 시나리오는…

5일 안철수 무소속 대선 후보가 파격적인 '단일화 회동' 제안에 이어 '단일화 이후' 상황까지 언급해 주목된다. 단일화를 통해 정권을 교체하자마자 '국민연대'를 해야 한다고 밝힌 것이다. 안 후보는 "정권교체를 위해서는 야권 단일화가 필요하고 단일화와 함께 새로운 시대를 염원하는 모든 세력이 새 정치를 향한 국민연대의 과정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거대한 기득권 장벽을 넘어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안 후보가 단일화 이후 구상을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모든 세력이 새 정치로 연대'하는 안 후보의 향후 구상에 대해 정치권은 여러 가지 가정을 내놓고 있다. 우선 국민연대를 위해 안 후보가 자기 세력을 이끌고 민주당에 입당하는 경우다. 물론 전제는 민주당의 쇄신이다. 안 후보는 지금껏 민주당이 정치혁신이나 인적 쇄신, 개혁하지 않는다면 단일화 논의는 할 수 없다고 밝혀왔다. 이날도 "스스로 기득권을 내려놓는 모습 없이 어떻게 새누리당을 심판해 달라, 정권 교체해 달라, 우리가 미래고 희망이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느냐"며 민주당을 조목조목 비판했다.

안 후보가 단일화 승부에서 승리한다면 민주당 측에선 당 지지층을 투표장에 나오게 하기 위해서라도 안 후보의 입당을 압박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안 후보가 어떤 선택을 할지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안 후보 캠프의 핵심인사는 6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단일화에서 이긴다고 꼭 민주당에 입당해야 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했다. 안 후보가 이긴다면 신당 창당이라는 방법도 있다는 의견으로 해석된다.

국민후보로 대선을 치른 뒤 이길 경우 안 후보 진영과 민주당이 통합해 신당을 창당하는 방법, 대선 후 '안철수 독자 신당'을 만들고 민주당과 공동정부'연립정부를 통해 연대하는 방식 등 '국민연대'의 방식은 다양하다. 한 정치평론가는 "'국민연대' 발언 속에는 대선 이후 최소한 무소속 대통령으로 남지는 않겠다는 뜻이 담겨 있다"며 "민주당 입당보다는 정권 교체 후 문 후보 측과 공동정부'연립정부 구성 등으로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