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0명 중 4명…구직포기 20대 비율 최고

구직을 포기한 20대 비율이 25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9월 20대 연령층의 비(非)경제활동인구 비율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0.7%포인트(p) 오른 38.4%로 조사돼 경제활동인구 조사를 구직기간 4주 기준으로 한 1999년 6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구직기간 1주 기준으로는 38.7%로 1988년 2월(38.7%) 이후 24년 7개월 만에 최고치였다.

20대 비경제활동 인구(구직기간 4주 기준)는 9월에 238만3천 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만6천 명 늘었다. 비경제활동 비율은 해당 연령대 인구 중 통학(학생)이나 취업준비, 육아, 가사 등을 이유로 경제활동을 하지 않은 사람의 비중으로 100에서 경제활동(취업자+실업자) 참가율을 뺀 수치와 같다. 이 비율은 9월 기준으로 2007년 36.5%였으나 세계 금융위기가 불거진 2008년 37.3%로 올라선 뒤 2009년 37.4%, 2010년 37.8%, 2011년 37.7% 등으로 금융위기 이후 경기 회복에도 좀처럼 개선되지 않았다.

20대 후반의 비경제활동 비율은 지난해 9월 25.1%에서 지난 9월 26.9%로 무려 1.8%p 뛰어오르며 3개월째 늘어 20대 초반이 같은 시기 54.3%에서 52.1%로 2.2%p나 감소한 것과는 대조를 이뤄졌다. 이런 흐름은 한국경제의 일자리 창출력 저하, 청년층의 학력 인플레이션, 기업의 경력직 선호 추세 등 20대 고용시장의 구조적인 문제가 여전한 가운데 경기 침체 요인까지 가세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봄이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