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칠곡보 하류 물받이공 대규모 균열 사실로 드러나

낙동강 칠곡보 하류 물받이공(폭 400m, 길이 40m, 두께 1m의 콘크리트)의 끝단부에서 대규모 균열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물받이공 아래에 있는 모래가 쓸려나가 물받이공이 허공에 떠 있는 상태가 돼 자중(自重)에 의해 주저앉았는가 하면, 보의 바닥보호공은 2t과 4t짜리 콘크리트 블록과 사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부분이 제기능을 하지 못하고 유실되거나 훼손되는 피해를 입었다.

이같은 사실은 대한하천학회와 시민환경연구소, 4대강조사위원회 등 시민·사회단체가 제보를 받아 민주당 4대강조사특위와 함께 이달 12일 칠곡보 하류를 수중촬영해 조사한 결과 밝혀졌다.

4대강조사위원회 등 시민·사회단체는 19일 서울 중구 환경재단 레이첼 카슨홀에서 가진 칠곡보 조사결과 기자회견에서 "(물받이공 균열의 원인은)칠곡보 상류의 강물이 보 본체 밑으로 지나 보 하류에서 솟구쳐 나오는 일명 파이핑(piping) 현상에 따른 것으로, 이것은 보의 안전에 근원적인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파이핑 현상이 발생하면 보 본체 아래 부분에 새로운 물길이 생기게 되는데, 물이 흐를 때 모래가 같이 쓸려 내려가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보를 구성하는 4가지 요소인 보 본체, 물받이공, 바닥보호공과 차수공(기초말뚝) 가운데 물받이공에서 대규모 균열과 훼손이 발생했고, 보 아래에 있는 모래가 쓸려 나간 것은 바로 보가 붕괴되기 시작했음을 의미하며, 보 아래에 있는 모래도 일정부분 보의 무게를 견디는 역할을 하는데, 모래가 유실되어 그 역할을 하지 못할 경우 부등침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칠곡보에서는 부등침하로 우려되는 현상이 이미 발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시민·사회단체들은 "칠곡보의 현상은 곧 '보 붕괴 시작'으로 판정한다"며 "이같은 현상은 칠곡보뿐 아니라 합천보, 함안보도 유사한 현상과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칠곡보는 지난해 홍수 때도 물받이공과 바닥보호공이 훼손되거나 유실되는 피해가 발생해 시민단체와 전문가들이 문제를 제기, 대규모 보강공사를 벌였었다.

칠곡·이영욱기자hello@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