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을 대신해 독을 마신다. 왕이 남긴 수랏상의 음식으로 끼니를 해결한다. 영화 '광해-왕이 된 남자'를 보면 가녀린 궁녀들의 힘겨운 생활을 엿볼 수 있다. 평온했던 시기 궁녀들의 생활이 이럴진대 일제 수탈로 몰락한 왕조의 궁녀들은 얼마나 힘들었을까.
박창복 여사는 조선시대 마지막 상궁 중 한 사람이다. 1902년 서울에서 태어난 그는 12세 때 집 앞을 지나던 상궁의 "예쁘다"는 말만 듣고 궁중생활을 시작했다. 어린 나이에 상궁들의 회초리를 맞으며 궁중용어와 몸가짐을 배우게 됐다. '마지막 왕후'인 순정효황후(윤비)의 지밀상궁이 돼 머리를 빗기고 몸을 씻어주는 온갖 시중을 들었다. 창덕궁 낙선재(樂善齋)에서 순정효황후를 모신 세월만도 30여 년이었다. 6'25 전쟁으로 운현궁에 피란했을 때는 쌀을 구걸해 와야 할 만큼 궁핍하게 지냈다. 순정효황후가 1966년 세상을 뜨자 궁중법도대로 3년상을 치른 후 보문사로 들어갔다. '비록 왕조는 망했지만 궁녀로서의 체통과 권위를 지켜야 한다'는 순정효황후의 가르침을 받아 평생을 처녀로 늙었다. 살붙이 하나 없이 평생 절개를 지킨 박 상궁은 무의탁노인 시설인 보문사 시자원에서 1981년 오늘 숨을 거뒀다. 같이 생활한 김명길 상궁이 1983년, 성옥염 상궁이 2001년 세상을 떠나면서 조선시대 궁녀의 역사도 마침표를 찍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