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론조사 제안에 역제안…文·安 "갈 때까지 가보자"

문재인 '양자대결+적합도'·안철수 '양자대결+지지도'

후보 등록일(25'26일)까지 이틀이 남은 가운데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대선 후보가 단일화 협상을 두고 절충점을 향한 막판 줄타기 승부를 펼치고 있다.

22일 문'안 후보의 직접 담판이 결렬되면서 벼랑 끝으로 내몰렸다가 양측이 후보 단일화를 위한 여론조사 방식을 제안하고 역제안하면서 점점 절충점을 향해 상당한 접근이 이뤄진 상황이다.

하지만 양측은 여론조사 방식을 두고 여전히 자신에게 유리한 방식을 고집하고 있어 여론조사 방식 합의 마지노선인 23일에 합의점을 도출할 수 있을지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 후보 측은 이날 오후 8시쯤 야권 단일화 중재에 나선 재야 인사들이 단일화 방식으로 제안한 '가상 양자대결+적합도' 조사 방식을 그대로 수용하고 안 후보 측에 제안했다. 문 후보 측이 선호하는 '적합도 조사'와 안 후보가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 '가장 양자대결 조사'의 결과를 각 50%씩 반영해 그 결과를 합산한 뒤 단일 후보를 결정하자는 것이다.

문 후보 측의 제안을 받은 안 후보 측은 3시간 이상을 고심한 끝에 이날 밤 11시를 넘어 역제안을 했다. '가상 양자대결'에 문 후보 측이 제안한 '적합도 조사'를 빼고 대신 '지지도 조사'를 넣은 것이다. 그러면서 "마지막 제안, 더 이상 양보는 없다"고 못박았다.

안 후보 측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지지도와 가상대결을 50%씩 반영하고, 지지도 조사 때 역선택 방지를 위해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지지층은 제외, 서로 합의한 여론조사회사 1곳을 통해 이른 시일 안에 조사를 하자"고 문 후보 측에 제안했다.

그러면서 "(두 조사가 달라) 편차와 등가성의 문제가 있는 만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무 협의팀의 신속한 합의가 있어야 한다"며 "조사 결과가 오차범위 안에 있을 경우 후보 간 그 결과에 대해 어떻게 할지 별도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제안을 민주당에서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어떻게 되느냐'는 질문에 대해 박 본부장은 "민주당도 더 이상 자신들에게 유리한 안만 고집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시간이 없다. 이번이 마지막 제안이다"라고 쐐기를 박았다. 사실상 최후통첩을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문 후보 측이 안 후보의 최후통첩을 받아들일지가 관심사다.

문 후보 측 우상호 공보단장은 23일 새벽 영등포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안 후보 측 제안에 대한 검토가 아직 안 돼 심사숙고해 검토하겠다"며 "협상팀이 먼저 조건 없이 만나야 한다는 것이 기본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우 단장은 "적합도와 가상대결은 누구에게 유리한지 드러나므로 명백히 유리한 방식을 제외하고 수정안(지지도)을 냈다"며 "(안 후보 측은) 양쪽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방식을 배제한 것이 아니라 안 후보 측에 유리한 것과 중립적인 것을 제안한 것이어서 저희가 받았던 안과 거리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안 후보 측이 처음 제안한 양자대결에다 문 후보 측이 적합도를 요구하다 한발 양보해 제안한 지지도를 섞는 방식의 여론조사에 대한 부담감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이후 박광온 대변인은 긴급회의 도중 브리핑을 통해 "회의장 분위기는 선뜻 받아들이기는 어려운 제안이라는 기류가 강하다"며 "특히 실무자들 사이에서도 대단히 부정적인 기류가 강하다"고 실무 협상팀 분위기를 전했다.

결국 23일 오전부터 막판 협상에 돌입한 양측 실무 협상팀이 후보 단일화를 위한 여론조사 방식의 세부 사항을 둘러싸고 어떤 합의점을 내놓을지에 대해 여러 가지 관측들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자신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지표인 '적합도' vs '지지도'를 두고 양측이 끝까지 주장을 굽히지 않을 경우 협상이 결렬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한 야권 인사는 "문 후보는 '적합도'를, 안 후보는 '지지도'를 여론조사 방식에 넣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단 한 번의 여론조사로 승부가 결정되는데 상대방에 유리한 방식으로 대결하려는 사람이 있겠느냐"고 말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