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안철수 빠진 대선… 박근혜-문재인 대결 본격화

野 단일후보 확정…朴·文 25일 후보등록, 27일 공식선거 돌입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가 23일 후보직을 전격 사퇴함에 따라 18대 대선은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와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 간의 양자대결 구도로 치러지게 됐다.

그러나 야권의 후보단일화 협상이 중단된 채 안 후보의 결단을 통해 문 후보를 야권 단일후보로 확정함에 따라 당초 예상했던 야권 후보단일화에 따른 시너지 효과는 반감됐고 중도층의 이탈 등이 예상되는 등 대선 구도는 새로운 변수를 맞게 됐다. 박 후보와 문 후보는 25일 후보 등록을 마치고 27일부터 공식선거운동을 시작하게 된다.

결국 이번 대선은 새 정치를 내세운 안 후보의 중도하차로 정권 재창출에 나선 새누리당과 정권 탈환에 나선 민주당과의 양자대결로 판가름나게 됐다.

특히 박 후보와 문 후보의 대결구도는 보수와 진보진영 간의 대결을 넘어 박정희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 간의 구도로 짜여졌다는 점에서 양 진영 간의 사활을 건 혈전이 불가피해졌다.

안 후보는 23일 문 후보와의 후보단일화 협상이 결렬되자 이날 밤 서울 종로구 공평동 캠프 사무실에서 긴급기자회견을 갖고 "문 후보와 저는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정치인이 국민 앞에 드린 약속을 지키는 것이 그 무엇보다 소중한 가치"라며 "제가 후보직을 내려놓겠다"고 말했다. 이어 안 후보는 "비록 새 정치의 꿈은 잠시 미뤄지겠지만 시대와 역사의 소명은 결코 잊지 않겠다"며 대선 이후에도 정치인으로 활동을 계속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새누리당은 예상치 못한 안 후보의 사퇴에 대해 안철수식 새로운 정치실험이 민주당에 의해 중단됐다고 보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안형환 선대위 대변인은 "새로운 정치를 표방한 안 후보의 후보 사퇴를 유감으로 생각한다. 정치 쇄신에 대한 안철수식 실험노력이 민주당의 노회한 구태정치의 벽에 막혀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며 민주당을 구태정치로 몰아붙였다.

민주당은 안 후보 사퇴 후 진성준 대변인을 통해 "안 후보가 정권교체를 위해 큰 결단을 했다"며 안 후보의 사퇴를 반기면서 "우리 모두가 안 후보에게 큰 빚을 졌다. 미안하고 감사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 후보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안 후보와 그를 지지하는 분들께 진심으로 미안하다"며 짤막하게 소감을 밝혔다. 문 후보는 24일 직접 기자회견을 통해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안 후보의 후보 사퇴 이후 안 후보 지지층의 적극적인 지지를 이끌어내고 야권 후보단일화에 따른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특히 후보단일화가 협상결렬과 안 후보의 사퇴로 이뤄졌다는 점이 안 후보 지지층의 대거 이탈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점에서 안 후보의 직접적인 대선 지원을 이끌어내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안 후보 지지자의 60% 정도는 문 후보를 지지하겠지만 20% 정도는 박 후보 쪽으로 가고 나머지는 기권할 수도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한편 25일 후보등록을 계기로 본격적인 대선에 나서게 된 박 후보와 문 후보는 정책대결과 더불어 과거사와 참여정부의 실정에 대한 공세 등 네거티브 공세에도 나설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선구도가 뜨거워질 전망이다.

새누리당은 참여정부에서 대통령 비서실장을 역임한 문 후보에 대해 '실패한 노무현 정권의 후계자'로 규정하고 서해북방한계선(NLL) 문제에 대한 재공세에 나서는 등 공세의 고삐를 죄기 시작했다. 새누리당은 '노무현 정부'를 '실패한 정권'으로 몰아붙이면서 실패한 정치세력의 재집권 시도를 용납해서는 안 된다는 식으로 문 후보를 압박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민주당은 박 후보에 대해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이라는 점을 부각시키면서 과거사 공세 쪽으로 공격의 초점을 맞추고 있어 대선전이 과거사 대결이 될 공산이 높아지고 있다.

백의종군을 선언한 안 후보의 향후 거취도 대선국면의 주요 변수 중의 하나라는 지적이다. 안 후보가 후보직을 사퇴했지만 적극적으로 문 후보를 돕겠다는 뜻을 밝히지 않음에 따라 안 후보 지지층이 적극적으로 문 후보를 지지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이번 대선은 안 후보 지지층의 이탈 규모가 사실상 향후 대선 판세를 좌우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