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전교조 위원장 선거, 불법 선거 논란 밝혀야

5일부터 7일까지 사흘 동안 치러지는 제10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위원장 선거가 부정행위 시비에 휘말렸다. 위원장, 수석부위원장을 묶어 러닝메이트로 출마한 한 후보 측의 운동본부 관계자가 전교조 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하기 전에 상대 후보 공보물을 입수해 돌려본 것으로 알려졌다. 전교조 선관위는 진상 조사를 벌이는 한편 이 행위를 불법 선거운동으로 규정했다. 이 후보에 대해 경고장과 홈페이지에 사과문 게재, 회원에게 불법행위를 알리는 이메일 발송의 벌칙을 내렸다.

그러나 진상 조사는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누가 공보물을 유출했는지 밝혀내지 못했고, 조사를 맡은 전교조 선관위원이 사퇴하는 사태를 빚었다. 3일에는 집행부가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처리 방안을 논의했지만 뚜렷한 해결책은 내놓지 못했다.

전교조 위원장 선거에서 불법행위가 일어난 것은 유감이다.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전교조 회원은 2003년 9만 3천여 명에 이르렀으나 계속 줄어 2009년에는 6만 9천여 명, 최근에는 5만여 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결성 초창기에는 정치적 탄압으로 부침이 있었으나 합법화한 노무현 정권 때도 회원 수가 줄었다. 이는 전교조 내부에서 일어난 각종 사고와 내부 계파 갈등에 따른 회원들의 자진 탈퇴가 주원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어떤 단체도 마찬가지지만 전교조의 가장 강력한 무기는 윤리성과 도덕성이다. 이를 바탕으로 해야 전교조가 주창하는 참교육이 설득력이 있다. 전교조 집행부는 이번 불법 선거 사건을 초심으로 돌아가 전교조를 새롭게 태어나게 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철저한 진상 조사와 책임자 처벌, 재발 방지책 마련 등으로 회원과 학생 앞에 떳떳한 모습으로 설 수 있는 전교조가 되길 바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