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담 / 황상익·강신익 지음/ 메디치미디어 펴냄
각각 의학의 역사와 의철학을 공부하는 두 학자가 만나 '대한민국의 의료(의학)는 건강한가'에 대해 묻고 답을 찾았다. 한국에서 드물게 인문의학자로 활약하는 황상익'강신익 교수는 의료는 과학기술이란 인식에 머물러 있어서는 안 되고, 의료문제를 문화이자 복지의 프레임으로 다뤄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 한국의 평균수명과 영아 사망률 등 건강수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도 상위에 속한다. 그렇지만 자살률은 1위이고, 자신의 건강상태가 양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38%에 불과하다. 지금 이 순간에도 환자와 가족들은 너무 많이 청구된 비급여항목 의료비와 간병인비로 고통 받고 있다. 소명하기 어려운 의료사고 때문에 통증을 넘어서는 분노를 느낀다.
이 책을 위해 네 차례 대담을 벌인 저자들은 인술이냐 상술이냐, 의사사회의 이상과 현실, 의료사고와 인간이 존엄성, 의료제도와 의료윤리 등과 같은 철학적 물음에 대해 치열한 공방을 펼친다. 또 전통 의료문화와 현대 의료문화의 차이점, 히포크라테스 선서, 동아시아 의학에서 보는 인술과 의술, 현대 의료문화의 형성과정, 한국 의료문화'의료보험의 역사 등 의역사학의 전반적인 이슈들도 고루 담았다.
저자들은 "무엇보다 의학을 과학과 기술로만 여겨서는 안 된다"며 "의료 서비스가 생산하는 것은 돈으로 환산되는 상품이 아닌, 도덕적이고 인간적인 가치"라고 주장한다. 사교육에 대한 지나친 투자가 공교육의 붕괴를 가져왔듯이 의료가 자본의 논리에 따라서 생산되고 소비되다가는 의료도 교육의 전철을 밟을 수 있는 것. 의료가 인간의 가치를 생산하는 창조적인 과정이라는 인식이 확산하여야 의사들이 '돈'에서만 일의 만족을 추구하지 않고 사회에 기여한다는 보람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268쪽. 1만4천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