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청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 중 하나는 '조사실'이다. 어두운 조명에 방음시설을 갖춘 밀폐된 방 한가운데 탁자가 덩그러니 자리 잡고 있고, 검사나 검찰 수사관이 범죄 피의자와 마주 앉아 으르고 달래며 조사하는 장면이 떠오른다.
또 방 한쪽 벽면엔 바깥에서만 방 안을 들여다볼 수 있는 특수처리된 유리창이 설치돼 있어 조사하는 상황을 보면서 지시하고 작전도 짠다. 이는 범죄 및 수사 등 드라마나 영화의 단골 장면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실제 검찰청에는 이러한 조사실이 있을까 없을까. 정답은 '있다'다. 그러나 머릿속에 그려지는 그런 '특별조사실'은 아니다. '영상조사실'이다.
영상조사실은 마약사범이나 중요한 피의자 등의 진술 내용을 녹화'녹음해 둘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하는 방이다. 진술을 번복하거나 부인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시비 가능성이 있는 사건은 아예 영상조사실에서 녹화하면서 조사한다. 또 인권 보호를 위해 영상조사실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조사실이 아닌 검사와 검찰 수사관이 함께 사용하는 검사실에서 조사한다.
대구지방검찰청엔 영상조사실이 총 22개 있고 방마다 조사 시 녹화를 할 수 있는 장비가 설치돼 있다. 영상조사실 내엔 탁자와 의자, 컴퓨터 등이 마련돼 있고 다른 방에서 조사실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특수유리도 부착돼 있다.
영상조사실의 종류와 크기도 다양하다. 부장검사 등이 밖에서 조사실 안을 들여다볼 수 있게 만든 것은 물론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처럼 부장검사나 차장검사실에서도 모니터로 조사실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만든 곳도 있다.
물론 고전적인 의미의 '조사실'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화장실, 간이침대 등을 갖추고 심야조사까지 했던 특별조사실이 있었지만 2002년 서울지검에서 발생한 피의자 사망사건 후 사라졌다.
검찰 한 관계자는 "특조실에서 조사받던 피의자가 구타 등 가혹행위로 사망한 뒤 서울지검 12층에 있던 특조실 등 10여 개가 모두 없어졌고, 그 후로 검찰청에서 특조실이 자취를 감췄다"며 "대신 등장한 것이 영상조사실로 예전에도 영상조사실이 있었지만 많지 않았는데 특조실이 사라지면서 확대 설치됐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