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섭게 성장하던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올해부터 정체 상태를 보일 거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는 2008년 이후 매년 두 자릿수 이상 성장해온 스마트폰 판매량이 올해를 기점으로 성장 폭이 한 자릿수에 그치고 3년 뒤부터는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스마트폰 시장 규모는 지난 2008년에 전년도보다 31.7% 성장한 32만 대를 기록하며 본격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2010년에는 전년보다 무려 717% 성장, 85만 대 수준이었던 시장 규모를 단숨에 694만 대로 늘렸다. 지난해에도 2011년(1천750만 대)보다 75% 성장한 3천70만 대를 기록했다.
하지만 SA는 올해 국내 스마트폰 판매량이 지난해보다 불과 8% 늘어난 3천310만 대에 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내년과 2015년에 각각 3천360만 대와 3천380만 대로 판매량 정점을 찍고 나서 2016, 2017년에는 매년 1%씩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해 결국 2017년에는 올해와 같은 3천310만 대를 판매할 것으로 SA는 전망했다. SA의 예상대로라면 4년간 실질적 성장률이 0%를 기록하는 셈이다.
이처럼 스마트폰 시장이 정체에 접어드는 것은 국내 인구가 5천만 명인 상황에서 자연스러운 일로 풀이된다. 한 전자업계 관계자는 "스마트폰 시장은 이미 어느 정도 성숙기에 접어들었으나 지난해 롱텀에볼루션(LTE) 스마트폰에 대한 수요가 늘고 기업마다 마케팅을 강화하면서 한 차례 더 성장한 것"이라며 "당분간 스마트폰 판매 시장은 규모를 유지하면서 정체 현상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최고급 스마트폰에서 중저가 스마트폰으로 무게중심이 옮겨가고 있다. 최근 삼성전자'LG전자'팬택 등 제조사들은 갤럭시 팝, 옵티머스 LTE3, 베가S5 스페셜 등을 앞다퉈 내놓으며 중저가 시장 공략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제조사들은 또 국내보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낮은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발굴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흥시장에 속하는 국가들은 2017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두 자릿수 이상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한편 시장 규모 2천만 대 이상 국가의 연평균 성장률은 인도가 30.2%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인도네시아(23.4%), 멕시코(13.8%), 브라질(13%), 러시아(11.4%) 순이었다.
전창훈기자'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12년 간 가능했던 언어치료사 시험 불가 대법 판결…사이버대 학생들 어떡하나
[속보] 윤 대통령 "모든 게 제 불찰, 진심 어린 사과"
한동훈 "이재명 혐의 잡스럽지만, 영향 크다…생중계해야"
홍준표 "TK 행정통합 주민투표 요구…방해에 불과"
안동시민들 절박한 외침 "지역이 사라진다! 역사속으로 없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