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2·3차 산업 융합, 농촌 6차 산업 열어야"…이양호 농촌진흥청장

"최근 경제계에서 6차 산업 이야기가 심심찮게 나오는데, 6차 산업 도입을 시급하게 해야 할 곳은 따로 있습니다. 바로 농촌입니다. '창조농업'이 정착될 때 비로소 농촌과 지방이 자생력을 되찾아 국가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어 줄 것으로 확신합니다."

이양호 농촌진흥청장은 1일 취임 한 달을 기념해 마련한 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창조농업'을 농진청의 새로운 화두로 내세웠다. '창조농업'은 박근혜정부의 경제 모토인 '창조경제'에서 따온 말로, 1'2'3차 산업의 융복합을 의미하는 6차 산업 개념을 농촌에 도입한 개념이다.

"농촌에서도 이제 모방의 시대는 끝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예전에는 좋은 농산물을 모방해 생산하는 데 주력했으나 지금은 공급이 과잉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생산품을 특화시키기 위해 멋지게 가공하는 기술력 확보는 필수입니다."

이와 함께 각 지역의 관광 상품과 연계해 부가가치를 높이지 않는다면 새로운 농촌 경쟁시대에서 살아남기 어렵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문경시가 오미자를 특화한 사례를 전했다. 이 청장은 "문경시가 오미자로 벌어들이는 돈은 10년 전 100억원도 안 됐으나 지금은 1천억원을 상회하는 수준"이라며 "이는 가공 기술을 적극 개발한 뒤, 문경새재 등 지역 관광지를 찾는 관광객(연간 600만 명) 때문에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라고 했다.

이어 국내에서 유일한 문경의 농산물가공지원센터를 주목했다. "센터는 농진청이 가공 상품의 지적재산권 확보와 기술개발, 각종 교육을 위해 설립한 기관으로 이곳에 누구나 와서 사업자 등록을 내고 제품 생산이 가능합니다. 특히 상품 허가권을 문경시가 갖고 있어, 오미자와 문경사과 등이 브랜드 개발에 용이했고 상품가공과 기술개발이 신속히 이뤄질 수 있었습니다."

이 청장이 6차 산업 개념의 '창조농업'을 강조하는 이유는 장담할 수 없는 수요의 문제에 있다. 아무리 질 좋은 제품을 생산하더라도 사람(소비)이 몰리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따라서 기본이 되는 질 좋은 제품에다, 흡인력 있는 지역의 특화 자원과 결합해 소비력을 키워야만 한다는 것이 창조농업의 핵심이다.

"박근혜정부 농업 정책의 3대 축은 농가 소득과 복지를 증진하고 농업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것입니다. 이 같은 숙제를 단박에 해소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창조농업이자 농촌에 6차 산업을 도입하는 일입니다."

이를 위해 각 지역의 관광 등 지역의 특화 자원 개발이 시급하고 스토리텔링 부여 작업을 거쳐 종합 상품화할 수 있도록 서둘러야 한다는 것.

이 청장은 최근 실무진을 재촉해 6차 산업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정부와 시군센터 등과 연계한 기술지도, 연구과제 발굴 사업에 착수했다. 농가가 언제든지 6차 산업에 뛰어들 수 있도록 컨설팅 등 지원체계를 마련한 것이다.

창조농업의 바탕이 되는 제품 개발에 있어서도 농진청의 든든한 지원사격을 기대해 볼만하다. 이 청장에 따르면 종자'농자재 산업 육성, 기능성 식품'바이오 신약 개발을 농진청이 시도하는 4대 신성장 산업으로 분류하고 공격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품종 개발은 수출 산업으로 육성시킬 필요가 있으며 경영비 절감과 자재산업 활성화를 위해 농자재 개발 사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신기능성 농산물로 만든 보조식품 생산과 장기 이식용 가축 생산, 곤충 등을 이용한 신의약 소재 개발 사업은 농가 외 소득에 그대로 직결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박근혜정부의 초대 청장으로서의 각오도 밝혔다. 인터뷰 서두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던 그는 "앞으로 현장중심, 국민중심의 농업기술을 개발'보급해 우리 농업이 안고 있는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 제2의 통일벼 기적을 이뤄낼 것"이라고 다짐했다.

통일벼는 1970년대 정부가 개발에 성공한 벼의 품종으로, 높은 생산성 덕분에 보릿고개를 해소하고 쌀의 자급을 달성하는데 크게 이바지한 국가적 히트 상품이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