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춘추] 추석

우리나라 속담에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말이 있다. 예전부터 우리나라의 3대 명절이라 하면 설, 단오, 추석을 일컫는다. 조상들은 음력 8월 15일 추석을 최고의 명절로 생각했다. 추석이 되면 아침저녁으로 날씨가 쌀쌀해지므로 여름옷에서 가을옷으로 갈아입는다. 그중에서도 추석을 맞아 입는 새 옷을 추석빔이라고 한다. 머슴을 두고 농사를 짓는 가정에서는 머슴들까지도 추석 때에는 새로 옷을 한 벌씩 해준다. 이것만 봐도 추석이 얼마나 즐겁고 풍성한 날인지 알 수 있다.

봄부터 여름 동안 가꾼 오곡과 백과를 가을걷이해 햅쌀로 밥을 짓고 송편과 술을 빚어 조상께 차례를 지내고 성묘 후에는 각종 민속놀이를 하면서 즐거운 하루를 보냈다. 정신적으로나 물질적으로 어려운 일들이 있는 사람들도 이날만은 배불리 먹고 마실 수 있고 즐거운 민속놀이에 흠뻑 빠지기 때문에 좋지 않은 일들은 잠시 접어두고 마음적으로 여유를 가질 수 있는 날이라 할 수 있다. 멀리서도 찾아오는 가족친지들을 만날 수 있어 즐겁고 함께 먹는 맛있는 명절 음식들이 있어 이 즐거움을 한층 더한다. 특히 이번 추석은 연휴가 조금 길어 시간적으로도 여유가 있을 것 같다. 이런 연휴에 휴식을 취하는 것도 좋겠지만 명절분위기에 맞게 조금 바쁘게 움직이며 평소 자주 찾아보지 못한 분들에게 인사를 드린다든가 조금은 분주한 기분을 느끼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누구나 명절을 즐기기에 바쁘겠지만 추석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떤 뜻을 가지고 있는지 알고 있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누구나 알고 있는 추석은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이고 음력 팔월 보름날이다. 추석을 명절로 삼은 것은 이미 삼국시대 초기쯤이었고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의 가배(嘉俳)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신라 제3대 유리왕 때 도읍 안의 부녀자를 두 패로 나누어 왕녀가 각기 거느리고 음력 7월 15일부터 8월 보름날까지 한 달 동안 두레 삼 삼기를 하였다. 마지막 날에 심사를 해서 진 편이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이긴 편을 대접했다. 이때 노래하고 춤추며 온갖 놀이를 했는데 이를 '가배'라 한다. 이 '가배'가 '가위'에 해당하는 그 당시 한자의 음차표기이고 '크다'라는 '한'과 합해져 8월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으로 오늘날의 '한가위'라 전해진다. 또한 가을을 초추, 중추, 종추 3달로 나누었을 때 음력 8월이 중간에 들어가는 가을의 가운데 즉 '중추'의 의미로 추석을 '중추절'이라고도 한다.

추수 때가 되면 먹을 것이 넘치고 사람들의 마음이 풍족해진다. 모든 사람들에게 항상 풍요롭고 즐거운 일로만 가득 찼으면 하는 희망을 해 본다.

박대성<파워엔터테인먼트 기획실장 power11@korea.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