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산 '생활권 통합' 기본계획 수립 22년만에 쾌거

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

대구경북 지역민들의 숙원이자 상생협력 상징의 하나인 대구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사업이 24일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대구도시철도 경북지역 연장기본계획을 수립을 한 지 22년 만에 숱한 난관과 우여곡절 끝에 이룬 쾌거라고 할 수 있다.

◆왜 하양 연장이 필요했나

경산시는 대규모 택지개발, 산업단지 개발 등 각종 개발계획에 따라 급속한 성장이 지속되고 이에 따라 통행수요가 증가해왔다. 또 대구시와 인접해 경산시 전체 통행량 중 대구시와 통행이 약 37%(2010년 통행발생량 기준)에 이르고, 경산시 관내에는 12개 대학 약 13만 명의 학생과 교직원 중 상당수가 대구시에 거주하고 있다. 하루 평균 수만 명이 오가는 등 대구시와 경산시는 사실상 동일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대구시와 경상북도라는 광역자치단체가 다르다는 이유로 대구도시철도 1호선은 안심역까지, 2호선은 사월역(2012년 영남대역까지 연장)까지만 운행돼 대구와 경산을 오가는 학생과 직장인들의 불편이 많았다. '콩나물 버스'를 이용하거나 자가용 이용 시 교통체증과 차량 유지비가 많이 들고, 교통량 증가에 따른 도로 건설과 확장을 해왔지만 교통체증을 해소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구시와 경북도, 경산시 등 행정기관과 정치권, 매일신문을 비롯한 지역 언론은 동일 생활권인 대구~경산을 오가는 시민과 학생들의 교통편의와 양 지역의 동반성장을 위해서는 대구도시철도의 경산지역 연장 필요성을 인식하고 사업 추진에 적극 나섰다.

◆사업 확정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대구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은 대구시와 경산시민들의 해묵은 숙원사업이었다. 사업은 1991년 '대구도시철도 1호선 경북지역(하양) 연장 기본구상'이 마련된 후 1998년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됐다. 하지만 2009년 KDI 타당성조사 결과 B/C(비용 대비 편익) 0.58에 그치는 등 경제성이 부족해 보류됐다.

이후 여건의 변화가 있었다. 당초 계획에서 정차역을 4개소에서 3개소로 줄였다. 또 절반 정도는 도시철도를 새로 놓고, 절반은 대구선 복선 전철화사업으로 인한 폐선을 활용한다는 계획으로 수정했다.

대구 신서동에 혁신도시가 건설되고 공공기관이 이전을 하게 됐다. 경산에는 하양읍과 와촌면 일원 391만㎡에 경산지식산업지구 내 건설기계부품단지 조성과 첨단메디컬섬유소재 개발사업 등 대형국책사업을 유치해 2020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여기에다 사업 추진이 중단됐던 경산시 하양읍 서사리, 부호리 일원 무학택지개발사업을 추진해 개발조건을 반영하고, 경산4산업단지 예비타당성 조사도 최근 통과했다.

이 같은 여건변화로 KDI에서 실시한 예비타당성조사에서 B/C 0.95, AHP 0.505로 경제성이 있다는 것으로 나왔다.

◆일등공신은 지역민들의 노력

하양 연장사업이 확정되기까지 대구시와 경북도, 경산시는 물론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산권 대학총장들은 '대구도시철도 1호선 하양'진량 연장 및 순환선 구축을 위한 추진위원회'를 발족하는 등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있었다.

이와 함께 매일신문의 역할도 컸다. 매일신문은 그동안 수차례 1호선 하양 연장의 필요성을 기획물로 연속 보도해왔다. 지난해 11월에는 매일신문 주도로 '대구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을 위한 범추진위원회'를 구성해 토론회와 홍보활동을 벌이는 등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경산시 한정근 건설도시국장은 "매일신문의 1호선 하양 연장 필요성을 강조한 시리즈 등 관련 기사들을 스크랩해 정리한 자료를 기획재정부와 KDI 등에 제출했고, 이들은 '이 정도로 절실하고 필요한 사업인 줄 미처 몰랐다'고 할 정도였다"고 말했다.

최영조 경산시장은 "현재 진행 중인 경산지식산업지구 내 국책사업과 무학택지개발지구 사업, 경산4산업단지 조성 사업 등 지역개발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며 "하양읍에 인구가 더 유입되고, 땅값 상승과 부동산 경기가 활성화되면서 첨단산업과 연계한 지역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산'김진만기자 fact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