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은 15일 신입사원 채용제도를 전면 개편해 전국 200개 4년제 대학의 총'학장에게 인재 추천권을 부여하고 연중 수시로 지원자를 발굴하는 등 '찾아가는 열린 채용제'를 도입한다.
또 1995년 열린 채용 체제로 전환하면서 폐지한 서류전형을 19년 만에 다시 도입해 사교육 시장이 형성된 삼성직무적성검사(SSAT)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방침이다.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이인용 사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열린 채용과 기회균등의 정신을 살리기 위해 제도를 개편했다"며 "입사 사교육 시장이 형성되고 사회적 부담이 가중되는 것에 대한 고민에서 나온 개편안이다"고 말했다.
삼성은 이르면 이달 말이나 2월 초부터 수시 지원 시스템을 개설, 연중 채용 접수를 시작할 계획이다. 삼성은 매년 4월과 10월 상하반기 신입사원 공채의 기본 틀과 전체 채용인원에서 지방대 출신 35%, 저소득층 5%의 비중은 그대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삼성의 '찾아가는 열린 채용제'는 지역 거점 대학을 중심으로 30개 안팎 대학을 연중 방문해 사전 인터뷰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또 총'학장 추천제로 5천명 가량 인재를 발굴할 예정이다. 대학별 채용인원 배정은 해당 대학의 삼성 입사 실적 등을 고려해 정해진다.
박용기 삼성전자 인사팀장(전무)은 "찾아가는 열린 채용과 총'학장 추천제로 발굴된 인재에게는 서류전형을 면제한다"며 "물론 추천을 받았더라도 SSAT에서 떨어지면 탈락하게 된다"고 말했다.
삼성은 이들 외에 다른 지원자들은 서류전형을 통해 입체적으로 준비된 인재를 선발한다. 따라서 향후 삼성그룹 계열사 입사 절차는 '찾아가는 열린 채용 발굴 또는 대학총'학장 추천→SSAT 응시→면접', '서류전형→SSAT 응시→면접'으로 바뀐다.
연구개발직, 소프트웨어 인력, 영업마케팅직, 디자인'광고직은 산합협력 과제, 직무관련 경진대회 실적, 인턴십'실무경험 추천 등으로 인재발굴 방식이 다변화된다.
특히 소프트웨어 인력은 인문'이공 통섭형 인재 확보에 주력하기로 했다. 이인용 사장은 "어학연수나 직무와 무관한 자격증 등 '보여주기식의 불필요한 스펙'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집중되지 않는 스펙은 오히려 불리할 수 있으며 서류전형으로 정성평가를 강화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은 서류전형 도입으로 연간 20만명에 달하는 SSAT 응시자가 대폭 줄어들 것으로 기대했다. 과도한 사회적 비용 완화와 탈락자 대량 양산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삼성은 설명했다.
SSAT도 지식'암기력 중심에서 논리력 중심으로 개편한다. 오랜 기간 독서와 경험을 통해 개발된 논리적 사고력으로 풀 수 있는 문제를 낼 것이라고 삼성은 설명했다.
유광준'노경석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