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인 이다현(21'여) 씨는 1년여 전 대구 태전동 영송여자고등학교 행정실에 조기 취업했다. 밝고 쾌활한 성격의 이 씨는 서류철 정리, 우편물 전달, 물품 관리, 환경미화 등 사무행정 보조를 하며 직장 막내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이 씨가 취업에 성공해 직장 생활에 적응하기까지는 '대구대학교 K-PACE센터'의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한몫했다. 2011년 개교해 이달 14일 첫 졸업생을 배출한 K-PACE센터(3년 과정)는 국내 최초의 발달장애인 고등교육기관. 이 씨는 K-PACE센터를 통해 대구대 사회과학대학 행정실, 경산시립도서관 등지에서 직업 훈련 경험을 쌓고 취업에 성공했다.
센터는 또 2012년 신한금융그룹이 주관한 해외연수 프로그램(장애청년드림팀! 6대륙에 도전하다)에 이 씨를 파견해 발달장애인에 대한 선진국의 체계적인 교육 과정과 정부 지원 상황 등을 직접 살펴볼 수 있게 했고, 지난해 1월에는 '2013 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 자원봉사자 활동을 지원했다.
이 씨는 "재학시절 해외연수와 봉사활동 등 다양한 이력이 취업에 도움을 줬다"며 "취업 이후 주 중에는 영송여고 행정실에서 일하고 주말에는 K-PACE센터에서 공부하며 바쁘게 지냈는데 이제 정든 친구들과 K-PACE센터 선생님을 떠난다고 생각하니 많이 아쉽고 고마운 마음이다"고 했다.
올해 첫 졸업생을 배출한 대구대 K-PACE센터가 발달장애 학생의 직업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발달장애 학생들이 사회적으로 자립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들이 직업을 가짐으로써 경제적, 심리적 안정을 찾는 일이다. 이 때문에 K-PACE센터는 학생들이 선호하고 장애 특성에 맞는 직업을 찾아 훈련하는데 교육의 최우선점을 두고 있다.
센터의 직업 훈련은 단과대학, 학생행복센터 등 교내 행정부서와 사회적기업 '성산'이 운영하는 '카페위(Cafe We) 대구대점' 등지에서 발달장애 학생들의 교내 인턴십 적응 기간을 거친 뒤 외부기관에서 2차 인턴십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대구대는 학생들의 외부기관 인턴십 체험을 위해 2012년 대구지방법원, 엑스코, 경산우체국, 경산도서관 등과 업무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센터는 또 해외 선진국의 발달장애인 직업 교육 및 지원 사례 등을 연구하기 위해 교사들을 미국 전문가 과정에 파견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덕분에 3년 과정의 K-PACE센터 교육 프로그램을 수료한 첫 졸업생 8명 중 3명이 조기취업에 성공했고, 나머지 5명은 센터 추가 교육 과정(사회참여심화과정)에 참여해 졸업 이후에도 자립을 위한 별도의 교육을 이수한다.
사회참여심화과정 프로그램은 직업 활동 등 발달장애 학생들의 자립을 위해 필요한 실생활 적응 교육으로 짜여 있다. 미국 최초의 발달장애 고등교육기관인 PACE에서 사회참여심화과정을 연수한 전문가들이 학생들을 지도한다.
박정식 대구대 K-PACE센터 소장은 "앞으로도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발달장애 학생들이 사회 곳곳에서 꼭 필요한 사회적 재목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