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휠체어 안타서 치매 요양등급 탈락 "말 됩니까"

사회문제 된 치매 노인…올 7월 정부 특별등급 제정, 치매도 치료 가능 홍보해야

치매노인 사고가 잇따르고 있고, 치매 환자가 급증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치매에 대한 국가
치매노인 사고가 잇따르고 있고, 치매 환자가 급증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치매에 대한 국가'지자체 차원의 지원과 대책이 절실한 실정이다. 지역 한 병원의 치매예방관리센터에서 치매 치료를 하고 있다. 매일신문 자료 사진

치매 노인 보호에 '구멍'이 뚫렸다. 지난 1월 모 연예인의 아버지가 치매를 앓던 노부모를 보살피다 너무 힘들어 노부모와 함께 세상을 등진 것을 비롯, 최근 치매노인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15일 오전 2시 32분쯤 대구 서구 비산지하도 위 경부선 철길에서 치매 할머니 A(80) 씨가 대전발 화물열차에 치여 숨졌다. 지난달 15일에도 대구 주요 도로에 '환자복을 입은 채 사라졌다'는 현수막이 수십 장 내걸렸던 치매 할머니 B(78) 씨가 실종 3개월여 만에 수성구의 한 야산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치매노인 상당수는 증상이 심각한데도 정부 지원이 따르는 요양 등급을 받기 어렵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관련 지원도 턱없이 부족해 치매노인의 간병'보호 책임이 대개 가족들에게 지워져 있는 실정이다.

대구시는 지역의 치매환자가 2만6천여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보건복지부가 2012년 발표한 노인 치매 유병률(9.18%)을 근거로 추산한 수치일 뿐 정확한 실태 파악은 되지 않고 있다. 대구의 치매노인은 급속히 증가해 2020년 3만4천800여 명, 2040년 6만6천900여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급증하는 치매노인 수에 비해 국가적 차원의 대책은 미흡하다. 특히 치매환자의 경우 노인장기요양법에 따라 요양등급을 받기가 쉽지 않다. 요양등급을 받으면 요양시설 입소나 요양사의 간병이 필요할 때 정부 지원을 대폭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등급 판정을 받기 어려워 대부분의 경우 가족이 전적으로 치매환자를 보살펴야 한다. 요양 등급은 휠체어에 의지하거나 신체적 활동이 힘들어야 받을 수 있다.

대구대 이진숙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치매는 병의 특성상 평소 증상이 심하다가도 심사를 받거나 다른 사람이 있으면 멀쩡해져 판정을 못 받는 경우가 많다"며 "가족은 중증으로 생각하는데도 판정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경제적 여유가 없는 가족의 고통은 클 수밖에 없다"고 했다.

지자체 차원의 지원도 턱없이 부족하다. 수혜 대상이 한정돼 있는데다 초기 환자에 대한 진단이나 치료 위주가 대부분이다. 지난해 12월 말 구'군 보건소에 등록된 치매 환자는 8천564명에 불과하다.

대구시 관계자는 "정부가 올 7월 치매특별등급을 만든다. 이렇게 되면 치매환자가 요양등급을 받기가 다소 수월해질 것으로 보이고, 시 차원에서도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치매에 대한 인식 부족을 지적한다. 치매는 사전에 막을 수 있고 치료도 가능한데 이를 잘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대구광역치매센터가 지역의 65세 이상 839명을 대상으로 한 '치매노인 인식도' 조사 결과 응답자의 60%가 '치매 치료가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대구광역치매센터 김병수 센터장은 "치매노인 가족의 경우 사회적 편견과 효 문화 등으로 치매 사실을 숨기고 다른 사람의 도움을 잘 구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치매노인 실종 예방법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치매상담 콜센터(1899-9988)나 대구광역치매센터(053-323-6321, 2) 등을 통해 치매환자 실종이나 치매 관련 상담을 받을 수 있다. 보건소에선 옷에 붙이면 떨어지지 않는 치매예방 인식표를 배부한다. 경찰서에서 지문으로 사전등록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동통신사의 위치찾기서비스, 배회감지기(GPS기기) 등도 유용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