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혼탁 후보 경선, 새누리당 사과하라

새누리당이 6'4 지방선거 대구'경북 지방자치단체장 후보 선출 경선을 마무리 지었으나 심각한 후유증을 앓고 있다. 무공천 지역이 된 상주와 청송은 예비후보들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으며, 일부 다른 지역에서도 탈락자들이 결과에 불복해 탈당하거나 소송에 나설 채비다.

박근혜 대통령의 선거 공약사항이자, 많은 여론조사를 통해서도 지방선거후보 정당 무공천이 주류였음에도 공천을 강행한 새누리당 입장에서는 이번 공천 심사를 어느 때보다 투명하고 공정하게 해야 할 책임이 있었다. 이 때문에 새누리당은 주민여론조사를 공천심사에 반영했고, 많은 곳에서는 주민 뜻에 따라 100% 여론조사로 후보를 선출하기도 했다. 이러한 경선 원칙이 만들어졌을 때도 여론조사의 허구성과 작위성, 국회의원의 당원 표심 조종 등이 부작용으로 예상됐지만, 그나마 객관적이고 공정한 경선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여론 조사가 전화로 이뤄지는 것을 악용해 불법 착신전화로 조사를 왜곡하거나 엄정중립을 약속한 몇몇 지역구 국회의원이 경선에 깊숙이 개입한 정황이 곳곳에서 드러났다. 실제로 포항시의 한 예비후보는 불법 착신전화를 개설한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됐고, 도의원이 지역구 국회의원의 개입사실을 폭로하는 등 이번 경선에서 새누리당은 내부의 추한 꼴만 드러내고 말았다.

본 선거도 아닌 경선에서 이렇게 이전투구를 벌이는 것은 오직 한 가지 이유밖에 없다. 후보 선출이 곧 당선으로 인식되어서다. 이는 지난 2010년 5회 지방선거에서도 잘 나타났다. 당시 대구'경북 31개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 22곳 당선자가 새누리당의 전신인 한나라당 소속이었다. 나머지 9곳의 미래연합, 무소속 당선자도 한나라당 성향 일색이었다. 이는 출마하지 않은 몇 자치단체장을 제외한 대부분이 올해 선거에서 새누리당 공천을 신청한 데서도 알 수 있다. 어떤 불법, 편법을 저지르더라도 일단 공천을 받아야 한다는 절박감이 있는 것이다.

이제 후보 경선은 끝나 선거전과 당선자를 가리는 일만 남았지만, 새누리당은 이번 경선 과정에서 보인 불공정'불투명함에 대해 사과하고, 개입 정황이 드러난 국회의원은 엄정 제재해야 한다. 또한 이번 경선 결과를 수용하느냐, 이를 심판하느냐는 온전히 유권자의 몫이다. 새누리당이 반성을 하지 않는데도 또다시 표를 몰아준다면 대구'경북의 미래는 변화나 개혁을 기대하기 어렵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