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시각장애인시설에서 경험한 한 사례이다. 그 나름 시설규모가 꽤 컸기에 직원들도 수십 명에 달했다. 물론 어느 집단이라도 신참과 고참이 있기 마련이지만 그곳의 신참과 고참은 입소해 있는 장애우가 보고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능력(?)에 따라 결정됐다. 무슨 내용이냐면, 시설에 종사한 지 얼마 안 된 직원들은 모두가 장애우들 상태가 시각장애우인 만큼 보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전제하고 행동한다. 하지만 고참들은 다르다. 즉, 입소 장애우들이 자신들과 같이 본다는 것을 인정하고 행동한다.
이런 일이 있었다. 시설에 입사한 지 일주일 정도 된 신참이 장애우들이 생활하는 방 청소를 했다. 신참은 당연히 장애우들이 방을 대충 치우는지 꼼꼼히 정리하는지를 모를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날은 몸살 기운도 있고 주변 고참 직원이 감독하는 것도 아니고 해서 두 번 할 걸레질을 한 번만 했다. 하지만 기운이 없었기에 청소시간은 평소와 같이 걸렸다. 신참은 당연히 장애우들은 모를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런데 시설에 입소한 지 좀 오래된 어르신 한 분이 '오늘은 청소를 대충대충 하네' 하고 지적하지 않는가. 그때 너무나 당황스러웠지만, 너무도 신기해 '죄송합니다. 제가 오늘 몸이 너무 안 좋아서 그랬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아셨죠?' 하고 질문을 했다. 어르신은 그냥 웃기만 하고, 답이 없었기에 신참은 늘 신기하게 생각하며 지낼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이와 유사한 일이 시설에서 자주 생기는데, 그 궁금증을 참을 수 없어서 신참은 고참에게 물었다. 고참의 답은 간단했다. "이곳에 오래 근무하면 본다는 것이 눈으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 시각장애 입소자들은 기운으로 느끼고, 숨소리로도 느끼고, 스쳐 지나가는 바람 소리로도 봐. 눈으로 볼 수 없으니 감각으로 보는 거지."
정말 그랬다. 시각 장애우들은 상대의 목소리만 듣고도 상태가 어떤지를 아는 것은 당연했고, 발자국 소리만으로도 상대의 기분을 헤아릴 수 있었다. 학자들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눈을 감고도 웬만한 것은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표현하는 '마음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면 보이고 들린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작 우리는 우리 눈에 보이는 것만 보려고 할 뿐 감각으로 느껴서 보는 것들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다. 어쩌면 마음의 소리, 즉 감각을 통해 볼 수 있는 것들이 더 정확하고 더 깊을 수 있을진대 그냥 흘려보내기에 진짜 중요한 것은 못 보고 지나가는 것은 아닐까. 나아가 안은 보지 못하고 겉만 보는 우를 범하는 것은 아닐까?
가끔씩 눈을 감고 온몸으로 사물을 보는 자세를 가져보면 타인에 대해서도 더 깊어질 수 있지 않을까?
김제완 사회복지법인 연광시니어타운 원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