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향력 커진 여론조사…잡음은 더 커진 새누리당

중앙당 공천위 경선 불복·이의신청 잇따라 비상

새누리당이 6'4 지방선거 공천 잡음에 몸살을 앓고 있다.

여론조사 경선으로 후보가 확정된 단체장, 지방의원 후보들이 잇따라 경선 불복과 이의신청을 제기하면서 중앙당 공직후보자추천관리위가 비상사태에 직면했다.

중앙당 공천관리위는 전국적으로 여론조사 경선에 문제가 많다는 것을 인정하며 여론조사기관이 잘못을 시인하는 경우엔 경선 자체를 무효로 하고 있다. 새누리당 김천시의원 가선거구 공천이 대표적이다. 조사를 진행한 두 여론조사기관의 특정지역 지지율 차이가 너무 많이 났는데다 할당표 오류가 난 것이다.

김재원 원내 수석부대표 겸 중앙당 공천관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원칙적으로 여론조사기관에서 문제를 인정하는 경우는 당연히 경선 자체를 무효화하고 여론조사 기관에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할 것"이라며 "해당 여론조사기관은 명단을 공개해 영구히 당 여론조사에 관여하지 못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새누리당 공천위는 이달 11일에만 100건의 이의신청을 논의했는데 이 중 절반이 여론조사 문제였다. 한 주에 150~200건 정도의 이의신청을 검토, 해결하고 있다. 후보등록까지 시한이 촉박한 곳은 해당 시도당 공천관리위가 심사를 통해 후보를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중앙당 공천관리위는 최대한 자체조사를 하고 있지만 그마저도 쉽지 않다며 골머리를 앓고 있다. 여론조사 경선에 문제가 있을 경우 후보자의 직함이 왜곡된 정도를 빼면 잘못을 찾아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여론조사를 임의번호걸기(RDD)로 하다 보니 관할 구역 외에서 여론조사가 실시된 경우가 발생하기도 했고, 착신전화를 설치해 여론을 조작한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이는 전문적인 분야여서 당 공천관리위 차원에서 조사해 문제점을 밝혀내기가 쉽지 않다. 선거관리위원회나 수사기관이 여론조사 왜곡에 대한 물증이나 수사결과를 내놓지 않으면 확인할 길이 없다는 것이다. 특정 연령층이 많은 기초단체에선 연령별 표집이 거의 불가능한 가운데 여론조사를 실시한 곳도 있다. 일부 지역은 여론조사 경선으로 민심이 쑥대밭이 됐다는 이야기도 전해졌다.

새누리당은 여론조사 경선만으로 후보를 확정 짓는 것은 극히 예외적으로 활용할 것을 지적했음에도 이번 선거에서 여론조사 경선이 만능인 것처럼 호도된 것이 문제를 일으켰다고 보고 있다.

김 부위원장은 "여론조사에 상당히 문제가 있다는 의구심을 갖고 있다. 강력한 항의가 속속 제기되고 있어 어떻게 해결할지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