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적인 소비 분위기가 정착되면서 외상거래가 눈에 띄게 줄고 있다.
지난해 우리 국민 1인당 신용카드 보유량이 4장 아래로 떨어졌다. 2007년 이후 6년만이다. 아울러 결제방식 가운데 일시불 비중이 처음으로 70%를 넘어섰으며 체크카드 이용금액도 90조원에 육박했다.
15일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경제활동인구 1인당 보유 신용카드는 3.9장으로 지난 2007년 3.7장을 기록한 이후 처음으로 4장 미만으로 내려갔다. 1인당 신용카드 보유량은 2009년 4.4장, 2010년 4.7장, 2011년 4.9장으로 급속히 늘어나다가 2012년 4.6장으로 줄어들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에서 발행된 신용카드는 1억203만장이며 올해는 9천만장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당국은 체크카드 활성화로 신용카드 이용이 줄어들었고 신용카드사의 부가혜택 축소 등으로 소비자들이 불필요한 카드를 정리하고 있는데다 강도 높은 휴면 카드 정리작업 등이 요인이 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신용카드회사들의 고객 개인정보 관리 부실이 드러나면서 신용카드사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이 깊어진 원인도 한몫을 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아울러 소비자들은 불가피하게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일시불 결제를 통해 외상기간을 줄이고 있다.
지난해 신용카드 이용액 558조원 가운데 일시불 결제는 전체의 72%인 401조원에 달했다. 이는 카드 사태 전후인 2001년 27.1%, 2002년 29.1%, 2003년 39.5% 비해 급증한 규모다. 지난 2011년과 2012년에는 각각 67.9%와 69.2%였다.
반면 지속적으로 증가하던 할부결제 비중은 지난해 전체 신용카드 이용액의 15.7%, 현금서비스 비중 역시 12.2%에 불과했다.
이와 함께 자신의 통장에 예치된 돈 만큼만 쓸 수 있는 체크카드의 인기는 급증세다. 2005년 7조원에 불과했던 체크카드 이용액은 2012년 80조원 문턱을 넘더니 지난해에는 88조원을 기록해 올해는 90조원을 넘길 전망이다.
신용카드 업계 관계자는 "고성장시대처럼 신용카드 매출이 폭증하는 시기는 다시 오지 않을 것"이라며 "신용카드 업계가 소비자들의 합리적인 소비패턴에 맞춰 사업구조를 다시 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